Q. 거래소 상장된 회사들의 상장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회사가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주된 이유는 자금조달과 기업 가치 제고 때문입니다. 그러나 상장 후에도 주주가치 제고를 외면하고 반주주 정책을 펴는 회사들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런 경우의 상장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1. 창업자나 경영진의 지분가치 현실화창업주나 경영진이 상당한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주식 상장을 통해 보유지분의 가치를 현실화할 수 있습니다.2. 인수합병 등을 위한 지분활용상장된 지분을 활용해 인수합병 시 대가로 활용하거나 지분 교환이 용이해집니다.3. 기업 브랜드 가치 및 인지도 제고상장 자체만으로도 기업의 브랜드 인지도와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4. 자금조달 수단 확보배당이나 주주환원이 없더라도 향후 자금조달이 필요할 경우 상장된 주식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5. 경영권 방어 상장 지분을 통해 오히려 경영권을 방어하거나, 소수지분 매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도 있습니다.결국 단기적으로는 배당이나 주주환원이 없더라도, 회사 경영진 입장에서는 상장을 통한 잠재적 이익이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주주가치 제고를 외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Q. 한 나라의 경제상태를 이해하려면 무엇을 보면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 나라의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경제지표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합니다.1. GDP(국내총생산) 성장률GDP는 한 나라의 경제규모와 성장세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플러스 성장률이면 경제가 성장중임을, 마이너스면 경기 후퇴를 의미합니다.2. 실업률실업률이 높으면 가계소득 감소,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강 압력으로 작용합니다.3. 물가상승률물가가 너무 오르면 구매력 하락으로 소비위축이, 너무 내리면 디플레이션 우려가 있습니다.4. 경상수지/무역수지경상수지와 무역수지 흑자 여부는 한 나라의 대외 경쟁력을 가늠하는 지표입니다.5. 산업생산지수제조업 등 주요 산업의 생산활동 수준을 보여주는 지수로 경기 동향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6. 소비자신뢰지수 미래 소득과 지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보여주는 지수입니다.7. 가계부채 수준과도한 가계부채는 소비위축과 금융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부동산 가격동향, 기업실적, 투자심리지수 등 다양한 지표들을 보조적으로 활용하면 좀 더 입체적인 경제상황 파악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