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다른 식물이나 동물을 모방한 하는 식물이 있는데요. 시각이 없는 식물이 어떻게 해 다른 생물의 모습을 따라 할 수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대로 식물은 시각이 없습니다. 없는데도 불구하고 변형된 식물은 무조건 이유가 있고, 생존과 관련돼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부 환경의 자격으로 각종 신호와 반응을 통해 누적돼서 진화를 하게 되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생물의 모양을 모방하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꽃과 같은 식물은 벌 같은 특정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그러한 형태로 진화하게 되는 것이고, 호랑이풀 같은 경우에는 생존을 위해 다른 곤충의 모습을 닮아서 천적을 피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Q. 실험동물기술원 1급 자격증 메리트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실험동물 관련 직무와 관련 있는 자격증이라고 생각하지만, 자격증이라는 게 유무 차이일 뿐 크게 중요하게 보진 않거든요. 그 쪽 분야에서는 잘 알려진 자격증일 수도 있는데 저도 처음 들어봤고, 실제로 생소한 자격증이라면 자소서 볼 때 궁금증을 유도할 수 있는 자격증일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한편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은 민간자격증이라서 시험이나 취득 비용도 만만하지 않을 거고, 관련 정보가 없으니 공부하시기도 쉽지 않으실 것으로 예상되네요.실무진 입장에서 자격증 있다고 하면 열심히 공부했구나 알아보는 정도지 그 사람이 잘 알 거라는 기대는 거의 안 하는 거 같아요. 모든 실무자가 똑같은 건 아니지만 오히려 자격증을 중요하게 보는 경우 자격증이 있음에도 모르거나 못하면 더 욕 먹는 게 현실이죠.관련 분야는 아니라서 잘 모르겠지만, 민간자격증도 스펙이니까 없는 것보다는 분명히 낫습니다.그 분야도 분명 외국 논문과 사례들이 많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토익 같은 영어 점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유리할 거에요.제일 좋은 건 관련 분야나 기관에서 간접적으로 보고 배울 수 있는 현장 실습이 좋긴 하죠.학교 다닐 때 독성학을 배웠는데 교수님이 학생들을 GLP 연구소로 현장 실습 보내더라고요.만약 그런 루트가 없으시다면 민간 업체 현장 또는 온라인 교육 알아보시는 건 어떠세요? 찾아보면 무료도 꽤 있습니다.동물 실험은 모르겠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연구소 취업은 관련된 교육 듣는 게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아마 찾아보시면 실험동물 관련 직무 교육도 있을 거고, 중요할 겁니다. 지금 준비하려고 하시는 자격증 급수에 너무 집착하진 마시고, 2급이라도 취득하시고 남는 시간에 다른 걸 투자하셔서 다른 자격증을 취득하시거나 교육 들으러 다니시길 진지하게 권장드립니다.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Q. 플랑크톤은 지구의 기후 변화에 어떤 역할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대로 플랑크톤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이 과정에서 탄소 저장을 하고, 탄소가 저장되면 지구 온난화를 조금이라도 해소시켜 줍니다.반대로 말씀드리면 플랑크톤이 줄어들면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가 많아지게 되고, 이산화탄소가 많으면 지구 온난화가 가속됩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양 온도와 산성도가 높아지고, 플랑크톤이 살아갈 수 없는 환경에 가까워지게 됩니다.플랑크톤은 어류의 중요한 먹이인데, 이런 체계가 무너진다면 먹이 사슬 뿐 아니라,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플랑크톤이 많아도 문제가 되긴 합니다. 모든 지 적당한 게 좋지요.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Q. 동물들도 우리처럼 꿈을 꾸는 걸까요? 그렇다면 왜 꿈을 꿀까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본질적으로 왜 꿈을 꾸는가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진 게 없습니다.다만 수면의 깊이에 따라 수면의 종류가 다르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저는 강아지를 키우는 데 가끔 잘 때 지켜보면 다리를 움직여 뛰는 상황을 연출하거나 몸을 떨면서 짖는 경우가 있습니다.동물들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램 수면 중에 꿈을 꾸는 것처럼 보입니다. 수면 단계에서 빠르게 눈이 움직이거나 몸을 떠는 등의 근육 경련이 나타납니다. 우리가 공부한 내용을 하루 만에 다 기억하기 어렵지 않나요? 학습 후 휴식과 수면을 취해 점진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기억하는 것입니다.동물도 훈련하면 학습하고, 기억하는 것처럼 자면서 나타나는 행동들이 이러한 기억 저장 과정과 비슷하다고 봅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환경 요인이 클 것이고, 인간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두려우면 이를 갈거나 쫓기는 꿈을 꾸고, 피곤하면 코를 골거나 헛소리를 하는 것처럼 동물들도 이러한 현상을 겪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Q. 국내에서 보호가 필요한 멸종위기종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멸종위기종 대표적으로 표범, 호랑이 등과 같은 동물이 있고, 지네고사리, 전나무 등과 같은 식물 종이 있습니다.모든 동식물들처럼 멸종 위기종도 먹이사슬 유지 및 조절 등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고, 식물의 경우 산림이나 하천 등에 서식하고, 동물의 경우 고산지대에 서식하기도 합니다.멸종 위기 원인으로는 다양하지만 대표저으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자연 파괴로 인한 서식지 감소, 쓰레기로 인한 환경 오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외래종 침입 등이 있습니다.모든 생명체는 존재하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보호해서 인간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생태계 보존에 힘써야 합니다.답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