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

김수헌 전문가
휴온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의 생명 주기는 어떤 식으로 진행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동물이 생명 주기는 수정에서 시작합니다.발생으로 배아가 자라게 되고, 출생 또는 부화를 거치게 됩니다.성장과 성숙을 거쳐서 번식을 하게 되고, 노화가 진행되면서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이러한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진행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체온을 낮추는 과정에서 땀이 증발하는 메커니즘은 어떻게 작용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우선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체온이 올라가면 땀이 발생합니다. 정확한 표현으로는 땀이 분비가 됩니다. 피부에서 땀이 증발하게 되면서 열을 흡수하게 되고, 체온이 낮아지게 됩니다.땀이 증발하는 과정은 물 분자가 열을 흡수하면서 액체->기체로 바뀌는 것입니다. 체온이 올라가면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땀이 피부에서 기화 현상으로 열을 흡수하고, 체내에 있는 열이 빠져나가면서 체온이 낮아지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이 영생을 얻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인간의 능력으로는 영생을 얻을 수 없습니다. 천문학적으로 수많은 별도 새롭게 태어나고 나이가 들면 죽는 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고작 우리 인간이 그러한 태초의 시스템을 거스를 수 있을까요? 만약 영생이 가능하다면 지구는 더 복잡해지고 각종 자원과 식량 부족으로 힘든 상황이 될 것입니다. 천천히 늙어가고 오래 산다는 것은 큰 축복입니다. 그렇게 살다가 아름답게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도 큰 축복이 아닐까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선은 냄새를 어떻게 맡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생선을 보면 아시다시피 인간처럼 코가 있지만 호흡기능은 없고 냄새를 맡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물고기 머리에는 콧구멍이 왼쪽 2개, 오른쪽 2개가 있는데 물이 들어오는 구멍과 물이 나오는 구멍으로 나눠져 있습니다.물이 들어가는 곳에서 후신경이 모여 있는 기관인 후판이라는 곳에서 냄새를 맡습니다.후각 능력은 물고기 종류마다 다르지만 인간의 1만 배에서 1000만 배라는 연구 조사 결과처럼 후각 능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그 중 먹잇감이 되는 새우나 다양한 해산물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 냄새에 더 예민합니다.말씀하신 상어는 후각이 특히 발달되어 500m 거리에서도 피냄새를 맡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피냄새를 맡는 것만이 아니라 특정 종류의 냄새를 분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정밀한 후각을 갖고 있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먹이가 한정된 해양 생태계에서 굶지 않고 생존하기 위해서 입니다. 위에서 어류들은 아미노산 냄새에 민감하다고 말씀드렸는데 상어는 철분 냄새에도 민감합니다. 피에는 많은 철분이 함유되어 있고, 연구 결과에 따르면 10억 분의 1 정도의 농도로 희석된 피냄새도 감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멸종 위기 동물 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현실적으로 멸종 위기 동물을 위해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은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질문자님처럼 관심을 갖는 것도 대단하고, 안 보이는 곳에서 멸종 위기 동물 보호를 위해 힘써주시는 분들께 존경을 표합니다.인간으로 인해 멸종 위기까지 됐을 겁니다. 지금은 합성 모피를 많이 사용하고 선호하지만 옛날 모피 열풍이 뜨거웠을 때는 많은 동물이 학살 당하고, 개체 수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동물 보호 관련 캠페인에 관심을 갖고, 동물의 서식지인 자연 환경 파괴, 무분별한 개발 등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것이 지금 남아 있는 동물들을 위한 작은 도움입니다.점점 파괴되는 자연 환경과 이상 기후 등으로 사라져가는 동식물들이 많을 것입니다. 무관심이 제일 무섭고 책임 없는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멸종 위기 동물이라는 것만 알지 얼마나 많이 줄어들었고, 그 동물에 대한 생김새도 모를 확률이 큽니다. 줄어든 데이터를 구체화를 시켜 눈으로 볼 수 있게 만들고, 파괴 전후 사진으로 현실과 경각심을 알린다면 사람들의 관심과 캠페인이 커질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해양 생태계의 생물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바다는 아주 깊고 인간의 발길이 아직 닿지 못한 아주 깊숙한 곳입니다. 그만큼 발견하지 못한 자원과 생물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간으로 인한 무분별한 발전 폐기물과 해양 쓰레기 투기, 수송선 기름 누출 등 바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도 있겠지만, 토양에 버려지는 각종 화학 폐기물과 미세 방사선들이 쌓여서 바다로 흘러들어 가는 현상도 많습니다. 지구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한 쪽이 오염되면 나머지도 서서히 오염되기 시작합니다. 우리가 먹는 생선에도 이미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된 것처럼 인간이 만들어내고 버려진 것이 결국 인간에게 다시 돌아오고 있다는 무서운 사례입니다. 해양 생태계를 위한 개인의 노력이 기업의 노력과 더 나아가 전 세계에 비해 큰 영향을 미치진 못하겠지만 관심을 갖다 보면 분명 좋은 영향으로 번져나갈 겁니다. 바다 낚시나 휴가철에 무분별한 쓰레기 투기 및 방치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쓰레기를 아무 곳이나 버리지 않고, 필요하지 않은 일회용품을 줄이는 것이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편할수록 자연은 파괴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심해 생물은 어떻게 극한 환경에서 살아남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심해 생물은 우리가 흔히 보던 해양 생물과는 다른 생김새와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가끔 심해어가 잡혀 올려오거나 죽은 사체를 보면 소름 돋고 무서울 정도로 낯선 모습을 하고 있는데요. 이는 심해에서 살기 위해 최적화된 모습입니다. 말그대로 극한 환경이기 때문에 극한 생김새와 특징을 갖고 있는 것입니다. 심해에 사는 생명체들이 인간들이 볼 수 있는 수면까지 올라오거나 발견한다면 그 생명체는 이미 죽었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마치 인간이 우주에 맨 몸으로 노출되는 것과 비슷한 겁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진화에 있어서 생물 멸종이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멸종이라는 단어 자체가 인간에게도 매우 슬픈 말입니다. 어쩌한 많은 발전을 이룬 인간도 우주 유성에 의해 아니면 대전염병에 의해 아니면 대자연재해로 인해 언젠가는 멸종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생물을 유전적으로 계속해서 번식하려는 습성이 있습니다. 인간에 비유하면 성욕도 자연스러운 번식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그런데 이게 이어나가지 못하고 없어지려고만 한다면 유전자에서도 기억을 하고, 번식할 수 있게 유리할 수 있게 점점 더 진화해갈 것입니다.쉽게 이해하시려면 게임을 하다가 다음 단계로 나가지 못하고 계속 죽기만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계속 죽더라도 다음 단계로 조금씩 나아가고 있고, 게임을 하는 사용자도 점점 노하우가 생겨서 죽지 않고 게임 진행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변하겠죠? 마찬가지로 진화에 있어서 멸종 단계는 중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구의 거의 모든 생물에있어 물이 가장 중요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물은 지구상에 있는 모든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밥을 먹고 물을 꼭 찾게 되는 본능처럼 물을 우리 몸의 대부분이 수분으로 채워져 있고, 밥을 못 먹어도 한 달 정도는 버틸 수 있지만 물이 없으면 일주일도 못 버티게 됩니다. 지구가 마르지 않는 이유도 바다와 강을 이루고 있는 물이 지구를 촉촉하게 유지해주고, 그 촉촉함 속에서 식물들이 비를 통해 물을 머금고 자라서 영양분을 흡수하고 배출하며, 이를 곤충과 동물들이 자연에서 영양분을 얻어가며 최종적으로 인간에게도 영양분이 전달되는 것입니다. 지구상에 있는 모든 생물들은 유기적이고, 상호 보완적으로 이루어져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오염된 물에는 미생물이 있을지언정 아무런 생명체도 살아가지 못합니다. 이를 통해 같은 물이라도 깨끗한 물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면역 체계의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과 관련하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헌 전문가입니다.선천성 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갖고 있는 면역입니다. 예를 들어 쉽게 말씀 드리면 고양이나 강아지 털 알레르기가 없는 사람을 보면 선천성 면역을 갖고 태어날 확률이 큽니다. 그런 털 알레르기 면역이 없는 사람도 어릴 때부터 온갖 미생물이 많이 있는 흙과 모레를 많이 접하고, 반려동물과 같이 자랐다면 후천성 면역이 생겨날 확률이 큽니다. 이처럼 후천성은 말 그대로 선천성과는 다르게 뒤늦게 생기는 면역 체계라고 생각하시면 편하고, 이와 관련하여 T세포, 싸이모신알파 등 면역에 관여하는 여러가지 면역 세포들이 있는데 이러한 세포들의 상호 기억 작용으로 생겨나는 것입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