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김수희 전문가
엘림실내악단
역사
역사 이미지
Q.  당구의 기원과 유래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구의 기원은 분명치 않지만 스페인 기원설, 영국 기원설, 프랑스 기원설이 있습니다그러나 정설로서는 14~15세기에 걸쳐서 크리켓과 비슷한 옥외 스포츠였던 것을 실내 게임으로 개량, 유럽 각지에서 발달해 간 것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의 서울대 역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0년 6월 100여 명의 독립운동가들이 재단법인 조선교육회(朝鮮敎育會)를 발기하고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을 전개하여 종합대학의 설립을 추진하자, 이에 일제(日帝)가 한국인의 고등교육기관을 봉쇄할 목적으로 설립한 것이다.이 학교에는 조선사람의 독립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는 정치·경제·이공 등의 학부는 설치되지 않았고, 일제의 식민통치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법문학부·의학부만 설치하였으며 1941년에 이공학부를 설치하였다.또한 교수와 학생의 구성에서도 차별을 받아 1926년 개교 당시 조선인 교수는 전체 57명 중 5명, 학생은 150명 중 47명에 불과했다. 이러한 경향은 이후에도 지속되어 1941년에는 교수 140명 중 1명, 학생 611명 중 216명만이 조선사람이었다.1924년에 경성제국대학 관제가 공포된 후 예과(豫科)가 먼저 개설되고 1926년 법문학부와 의학부가 설립되면서 초대총장으로 핫토리 우노키치[服部宇之吉]가 취임하였다.1926년 2월에 법문학부 교사가 준공되어 학부가 개강하였으며, 같은 해 5월 청량리에 예과교사, 1927년에 의학부 교사가 준공되었다. 1928년에는 법문학부 본관을 준공하고 조선총독부 병원을 의학부 부속병원으로 이관하였다.1929년 4월 처음으로 법문학부 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1934년에는 학부의 수업연한을 2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였으며, 1938년 이공학부를 증설하였다. 8·15광복과 더불어 경성대학으로 바뀌었다가, 1946년 '국립서울대학교설립안'이 공포되어 경성법학전문학교·경성경제전문학교·경성치과전문학교·경성이학전문학교·경성광산전문학교·경성사범학교·경성여자사범학교·경성공업전문학교·수원농림전문학교 등 9개 전문학교와 통합되어 지금의 국립 서울대학교로 바뀌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도 섭지코지의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섭지코지는 바다를 향해 툭 튀어나온 자루처럼 생겼는데,끈으로 묶은 것처럼 목이 좁다. 섭지코지라는 지명도 협지(狹地: 좁은 땅)라는 뜻의‘섭지’와 곶(串)이라는 뜻의 ‘코지’가 합해진 제주 방언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2차 대전을 전후해서 독일인들은 왜그리 유대인들을 미워햇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싫어했다기 보다는 희생양이 필요했던 거죠. 나치가 그 당시 독일을 잡고 있었는데 독일 국민들에게 '우리는 우월한 민족이다'라는 걸 믿게 해서 조종하려고 했었데요. 그때 눈에 띈게 바로 유대인. '유대인은 우리보다 허접한 존재이므로 학살 ok'라는 논리로 독일국민들을 선동하며 자신을 받들게 했어요. 그때 원 플러스 원 행사처럼 집시들도 많이 죽였죠. 그 후 이런저런 일들을 통해 나치는 세계 2차대전을 일으켜 세계를 제패하려는 꿈을 꾸죠. 근데 실패.
역사
역사 이미지
Q.  명성황후는 최후를 어떻게 맞이하였는지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느누구도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단정을 할 수 는 없습니다.추측만 있을뿐이지.. 역사는 특정 몇 사람에 의해 좌우될 수 있을만큼..명성황후는 일본의 이노우에 가오루(주범)가 종범인 미우라 고로에게 시켜 시해하고 시신에 능욕을 보이고 태워 죽인 천인공노할 만행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대한제국의 고종황제는 어떤 평가를 받는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조선의 마지막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였고 일본의 침략을 막아보려 했으나 실패한다.고종이 을사늑약을 거절하는 등 일본의 침략을 막아보려고 애썼다.명성황후를 너무 신임한 나머지 국가 재정을 다 말아먹었다.고종이 조선을 부국화하는 것에 실패하자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가 되고 만다.청나라, 러시아 , 일본 사이에서 언제 먹힐지 모르는 상황이다. 근대화와 부국강병청나라는 점점 망해가고 있었고 일본은 제국화가 되면서 점점 세지고 있었다.아버지인 흥선대원군과 사이가 안 좋았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홍길동은 의적이 엇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는 홍길동은 의적인것에 찬성하는 입장입니다.이유로는1.홍길동은 도둑질을 하기는 했지만 벼슬아치(벼슬을 하면서 개인의 사리사욕을 위해 돈을 목표로 일을 하는 사람을 낮추어 부르는 말)의 돈만 도둑질했기 때문입니다.2.훔친 돈을 자신이 갖거나 사리사욕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몰래 나누어 주었기 때문입니다.3.(좀 억지같기는 하지만)홍길동은 사람들이 벼슬아치들을 비꼬기 위해 만든 것인데, 사리사욕을 위해 쓰거나 악행을 하는 악인(도적)으로 만들 리가 없죠. 천민이나 평민을 대신해서 벼슬아치에게 벌을 주는 의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그 당시 베스트 셀러가 될 수 있었던 것도 그렇고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빈센트 반 고흐는 왜 자화상을 그렸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가 이렇게 많은 자화상을 남긴 이유는 인물의 본질과 내면을 표현하는 인물화를 그리며 그림 실력을 늘리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고흐는 자신의 여동생에게 보낸 편지에 '나는 사진가가 포착한 사진 속 내 모습보다 더 심도있는 나의 초상을 탐구하는 중이다'라고 적었습니다.현실적 이유 또한 있었다. 사람들이 선뜻 그의 모델이 되길 꺼려했기 때문이다. 빈센트 반 고흐는 남동생에게 쓴 편지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사람들은 말하지.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나 역시 그렇게 생각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안중근 의사 유관순열사 이라고 하잖아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열사: 맨몸으로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내는 사람의사: 무력으로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
역사
역사 이미지
Q.  공지영 작가님의 중단편소설들 중 작품성 있는 작품들을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지영 작가의 '착한여자'도 참 좋구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도 좋습니다...그 책은 한번이 아니라 시간이 흐른후에라도 꼭 다시 또 찾게 되더라구요... 주인공들의 그리 행복하지 않은 삶들로 인해 다시 한번 마음을 다지게 되는 소설이라고 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 에세이집도 좋아요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