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금리가 계속오르는데 물가도 계속 오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서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는 경우 물가 상승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시차를 두고 물가가 상승하게 되죠. 그런 상황에서 금리 인상을 하거나,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한다고 해도, 그 시점에 바로 물가 상승이 중단되거나 물가가 하락하지 않습니다. 이 또한 시차를 두고 반영됩니다. 가령, 오늘 기준금리가 10%가 된다고 해서, 1달 후에 물가 상승 자체가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만큼 인플레이션이라는 것이 한번 뜀박질을 시작하게 되면,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최선의 시나리오는,금리 상승 -> 시장의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가 꺾임 -> 물가 상승폭이 둔화됨이정도가 현재 중앙은행이 할 수 있는 최선이 아닐까 사료됩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 금리 상승 -> 시장의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가 남아있음 -> 물가 상승폭이 기대한 수준보다 둔화되지 않음 ->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 경기는 침체되고,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미국에 최종금리 5%이상으로 예상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3.75~4.0%이고,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0%대입니다. 제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우리나라가 외화 유출을 완전히 막는 방법을 쓰는 것 보다는, 유사한 수준으로 (가령 3.5%) 상승시켜서 외화 유출을 최소화하는 방향을 쓰는 것이 더 긍정적인 정책이라고 판단됩니다. 저는 FRB의 빅스텝 단행과 파월의 발언은 사실상 시장의 기대를 꺾어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상징적인 방법론입니다. (실제보다 과장해야지만, 인플레이션 기조가 꺾이고, 시장 참여자들의 희망이 꺾이기 때문일 것입니다.)따라서, 우리나라 중앙은행도 그렇게 받아들이고, FRB의 행보의 방향성은 함께 유지하되, 완전히 복사해서는 오히려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기를 소망해봅니다. 정책은 늘 어렵지요. 왜냐하면, 의도와 다르게 온 국민에 미칠 영향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4차산업혁명이 지금보다 더 구체적으로 발전하게 된다면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적자원의 가치는 일방향으로 그 가치가 절하된다라고 볼 수 없습니다. 물론, 기업 내부의 많은 직무들의 가치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됩니다.빅데이터 기반의 AI가 해결할 수 있는 직무는 인공지능 기반의 프로그램 혹은 시스템이 대체할 것이지만, 여전히 인간 간의 세심한 커뮤니케이션이나, 직관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직무를 맡는 직무는 오히려 그 가치가 재평가될 수 있습니다. 지금으로서는 끊임없이 그것이 무엇인지 자문하고, 탐구하는 것이 우리 인류가 고민해야할 바람직한 방법론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