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머리 많이 맞으면 뇌세포 죽는다는 말?
머리를 많이 맞으면 충격으로 머리 지능이나 기억력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대부분 인체의 장기들은 감당하지 못한 충격을 받으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손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태양에 전세계에 있는 핵미사일과 모든 미사일 무기를 맞추거나 떨어뜨려 터트린다면 어떻게 되나요?
태양에 전 세계에 있는 핵미사일과 모든 미사일을 맞추거나 떨어트려도 태양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태양의 사이즈가 어마어마하게 크기 때문입니다.
화학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체감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이점?
실제로 사람이 느끼는 온도가 다르지만, 체감온도는 공식으로 정의를 해두었습니다.체감온도 = 13.12+0.6215 × (온도) -11.37 x (바람의 속도)^0.16+0.3965 x (바람의 속도)^0.16×(온도)입니다.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온도는 습도나 바람에 의해 결정되는 요인이 있으므로, 공식으로 정의를 해두었습니다.
화학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최근 계속되는 한파는 어떤 원인에서 지속되는 것인지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날씨가 추워지는 이유는 기압이 변했기 때문입니다.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차가운 대륙 고기압이 확장되면서 북서쪽으로부터 영하 20도 이하의 찬 공기가 유입되어 갑자기 추워지게 되었습니다.지구 온난화로 인해 더 추워지기도 하였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달이 지구와 가까워지면 멀때와 어느정도 거리가 차이가 나나요?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달과 태양의 인력과 달과 지구가 회전운동할 때 생기는 원심력, 그리고 지구로부터 달아나려고 하는 힘에 의해 발생합니다.달을 향한 바닷물이 달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반대편 지구의 바닷물은 원심력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데,이것이 밀물과 썰물을 만들게 됩니다.따라서 달이 지구와 가까워지면 밀물과 썰물이 심해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바닷물을 왜 파란색으로 보이나요?
수심이 깊은 바다를 통과하는 빛은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이 안쪽으로 흡수되어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만 표면으로 반사되므로, 우리 눈에 파랗게 보입니다.
물리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신체에서 땀이 나는 현상이 궁금합니다.
인간의 평균 온도는 36.5도 입니다.이것은 내부에서 효소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온도를 기준으로 잡은 평균입니다.즉 우리 몸은 열 에너지 등을 이용해 체온을 유지하게 됩니다.그런데 주변 온도의 변화는 체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주변 기온이 높으면 만들어지는 열에너지를 발산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땀을 흘려서 수분이 증발하거나 혈관을 확장하도록 합니다.즉, 몸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 땀을 흘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다른지역에서 같은 시간대에 천둥소리가 들릴까요?
소리라는 것은 파장이며 속도를 가집니다.소리의 속도는 약 340m/s 입니다.어느 위치에서 천둥이 쳤다면, 이 속도대로 소리가 울려 퍼지게 되므로멀리 있는 지역은 늦게 소리를 듣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번개의 원리, 번개의 열 궁금해요
천둥 번개는 구름 속에 형성된 전기장 때문에 생성됩니다.구름 입자는 양전하, 음전하를 가지게 되는데 입자가 전하의 갯수를 맞추기 위해 이동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이것이 천둥 번개를 발생 시킵니다.그런데 이 구름 속의 전기장이 물방울과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합니다.먹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이나 작은 얼음들이 계속 부딪히며 얼음은 전자를 뺏기고 더 높은 곳으로 상승합니다.그러면 위쪽은 상대적으로 양전하, 아래쪽은 음전하를 가지게 되어 번개가 생기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반딧불 보이는 현상 문의드려요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은 공기에 있는 산소와 만나 화학 반응(산화 반응)을 일으키며 빛이 발생하는 물질입니다.이 물질이 반딧불이의 기관 내의 세포가 만들어내고 있습니다.즉 반딧불이는 발광세포를 가지고 있어서 번쩍거리는 빛을 낼 수 있습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