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우주의 크기는 얼마나될지가 궁금해요
우주의 크기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우주의 팽창 속도가 너무 빨라서 관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현재 인간이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930억 광년 정도 됩니다.
물리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무회전킥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무회전 슛에서 흔들리는 효과를 카르만 효과라고 합니다.회전하지 않는 공이 공기를 지나가게 되면 공의 뒤편에 소용돌이가 생깁니다.이 소용돌이를 카르만 소용돌이라고하는데, 공과 같은 동그란 표면으로인해 유체가 불완전하게 분리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따라서 이 소용돌이에 의해 공 뒤의 공기가 무작위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의 순간 기압 차이로 공이 진동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공룡은 정확히 어떻게 멸종되었나요?
현재는 소행성 대충돌이 가장 유력하다고 봅니다.소행성 충돌로 인해 기후변화가 급속도로 변하여 생물체들이 대부분 죽었을 것입니다.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면 거대한 먼지로 인해 햇빛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소행성으로 인해 자연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공룡이 멸종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얼음행성 천왕성의 자전축이 누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천왕성이 기울어진 이유는 태양계 행성들이 형성되기 시작할 때,태양계 내의 무수한 소행성들과 태양의 만유인력으로 인해 자전축이 기울어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소금물에 전기가 흐르는 이유 궁금해요
염분, 즉 소금의 화학식은 NaCl입니다.소금이 물에 녹게되면 이온화가 일어나 Na+와 Cl-로 나뉘어집니다.여기에 전압을 가하면 Cl-와 Na+가 각각 반대 전압으로 이동해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전기·전자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휴대폰에서 측정되는 만보기 원리가 궁금합니다
만보기는 여러가지 센서의 조합으로 걸음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중력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가 필요합니다.중력센서는 중력을 감지하여 핸드폰 방향을 인식하고,가속도 센서는 스마트폰의 속도, 충격, 이동상태를 감지합니다.그리고 자이로센서가 핸드폰의 회전상태와 기울기를 인식합니다.여러 센서들의 조합으로 걷고 있다는 상태가 인지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열기구가 하늘에 뜨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더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보다 비중이 가볍습니다.따라서 대기 중 올라가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이 원리를 이용해서 열기구 안의 공기를 불로 데우면 비중이 가벼워지므로 하늘로 떠오르게 됩니다.
토목공학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각종 배관이 동파되는 이유가 뭔가요?
각종 배관이 동파되는 이유는 물 때문입니다.물이란 것은 어는점 이하로 떨어지면 얼음이 되는 액체인데,이때,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물리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딱따구리는 충격흡수를 어떻게 하나요?
딱따구리의 두개골은 매우 얇고, 뇌와 두개골을 분리하는 액체가 다른 새보다 적습니다.이것이 딱따구리의 머리가 더 단단하면서도 동시에 더 잘견디도록 돕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도 화산 폭발의 위험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엄밀히 우리나라는 아니지만 백두산이 현재 폭발 가능성이 있습니다.백두산은 통상적으로 100년에 한번 분화하고 있는데, 현재 그 시기가 2~3년 정도 남았다고 합니다.그리고 한라산도 활화산이므로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206
207
208
209
2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