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부엉이랑 올빼미의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올빼미는 야행성 맹금류 입니다.부엉이는 올빼미목 올빼미과 부엉이류의 새를 통틀어 의미합니다.따라서 분류학적으로 거의 같은 동물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은하들은 어떻게 움직이는 걸까요?
은하들은 만유인력에 의해서 움직입니다.질량을 가진 물체는 서로 끌어당깁니다.따라서 이 힘이 서로서로 작용하여서 움직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우주의 끝은 어디까지 일까요 끝은 있는걸까요?
우주의 끝은 없습니다.우주는 현재도 계속 팽창하고 있고 관측 가능한 우주보다 현재 우주가 더 크기 때문에 끝을 알 수 없습니다.따라서 끝은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바다속 가장 깊은곳이 어느정도인가요??
마리아나 해구는 지구에서 가장 깊은 해구로 최대 깊이는 약 10,929m입니다.태평양판이 필리핀판 아래로 밀려 들어가는 섭입과정에서 바로 마리아나 해구가 생성되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우주복만입고 우주에서 얼마나 생존할수 있나요?
우주복만 입고 우주에 떠 있다면 몇 시간이나 생존할 수 없는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우주복에서 물이나 음식이 공급된다면 그만큼 더 살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낮에도 달이 보이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해와 달이 동시에 보일 수 있습니다.사실 달은 낮에도 보입니다.달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고 하루에 13도 정도 이동하게 됩니다.달의 공전에 의해 달의 모양이 달라지는데,달이 보이는 이유는 태양의 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따라서 낮에도 충분히 지구, 태양, 달의 각도에 따라 달이 보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꿀벌이 사라지면 지구가 멸망한다고 하던데..?
꿀벌이 생태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면 예측할 수 있습니다.꿀벌이 사라지면 수분을 돕지 못해서 식물이 번식을 할 수 없습니다.그러면 식물을 먹이로 삼는 초식 동물들이 큰 타격을 받게 됩니다.이렇게 연쇄적으로 모든 생태계가 다같이 타격을 받게 됩니다.
전기·전자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정전기가 생기는 과학적인 원리가 알고 싶습니다.
대부분의 정전기는 물체가 서로 마찰할 때 발생합니다.두 물체가 서로 접촉한 후에 분리하게 되면 분리된 경계면에서 전하가 이동하게 됩니다.이때 각각의 물체는 같은 양의 과잉 양전하와 음전하가 발생하여 전기가 흐르게 됩니다.피부에 수분이 많으면 전기가 중성상태가 되어 전기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반대로 건조한 사람은 정전기가 잘 생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노을이 붉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저녁 무렵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집니다.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됩니다.기울기가 작아지니, 통과해야하는 대기층이 기울어지는데,파장이 짧은 파란~보라 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고,파장이 긴 빨/주황색만 대기층을 통과해서 노을이 붉어보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원숭이가 진화해서 사람이 되었다는 말?
전혀 가능성이 없는 이야기 입니다.더 정확하게는 원숭이와 사람의 조상이 같지만,이후에 원숭이와 사람으로 나뉘게 된 것입니다.
271
272
273
274
2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