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기상청 관측 우리나라 역대 가장 추운 날씨는 몇도 였나요
우리나라 역대 서울 최저온도는 -23.1도 입니다.관련 기사를 첨부드립니다.https://www.yna.co.kr/view/AKR20180921128000004
전기·전자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블루라이트는 어떻게 차단하나요?
블루라이트 필터는 청색 빛을 줄이기 위한 필터입니다.청색 빛이 눈에 자극을 많이 주기 때문에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부담이 된다고 합니다.정확히는 380~500nm의 청색 계열의 파장을 의미하는데 이 파장을 차단합니다.
토목공학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요즘 내리는 눈은 먹어도 되나요?
요즘 내리는 눈도 먹으면 안됩니다.산성비다 뭐다 해서 안 먹는게 좋으며, 눈도 마찬가지로 공해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심지어 요즘에는 미세먼지도 심하므로 더 먹어서는 안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얼음이 어는 온도는 어떻게될까요!?
얼음이 어는 온도는 놀랍게도 0도 입니다.0도인데도 꽝꽝 얼어 있는 이유는 0도 이하의 온도에서 꽝꽝 언 후에0도가 되었기 때문에 아직 녹지 않은 것입니다
화학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노후위성에 서브위성을 도킹해 수명연장을 하는 이유는?
노후 위성을 폐기하는 것이 더 이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노후 위성이라도 이 위성을 올리기 위해 수 많은 자원이 들었을테니연장하는 것이 더 이득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얼음은 어떻게 물에 뜨는건가요?
물의 밀도가 4도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얼음이 물에 뜨게 됩니다.밀도가 크면 부피대비 질량이 크다는 뜻인데, 물이 4도에서 가라앉기 시작합니다.최종적으로 얼음은 물의 분자 내에 빈 공간이 생겨 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얼음이 물에 뜨게 됩니다.
기계공학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알파고 AI는 바둑으로 인간을 이겼는데 언젠가 AI의 지배가 시작될가요?
뭐 그런 상상이 언젠가는 이루어지지 않을까요라고 물으신다면언젠가는 일어날 수도 있을것입니다.다만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준비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니잘 안 일어날 것입니다.
화학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왜 술에 취하면 정신이 온전치 못하게 되나요?
술에 취하면 정신이 온전치 못허거나 필름이 끊기는 것은 단기 기억 상실입니다.즉 신경 메커니즘에 교란이 생겼기 때문입니다.대뇌 옆의 관자엽의 해마가 기억과 관련된 일을 하는데,알코올이 신경세포 간의 메커니즘을 교란시켜서 기억 입력 자체를 방해하게 됩니다.
화학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갑자기 날씨가 왜 영하17도로 내려가나요?
날씨가 추워지는 이유는 기압이 변했기 때문입니다.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차가운 대륙 고기압이 확장되면서 북서쪽으로부터 영하 20도 이하의 찬 공기가 유입되어 갑자기 추워지게 되었습니다.지구온난화의 영향이기도 합니다.
전기·전자
2023년 1월 23일 작성 됨
Q.
커피를 마시면 왜 안 졸려지나요?
피로가 쌓이게 되면 뇌에서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이 나옵니다.이 아데노신은 신경세포의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을 하게 되어 피곤해지고 잠이 오게 됩니다.그런데 카페인이 아데노신의 화학구조식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습니다.그래서 카페인이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을 하게 되는데, 실제 아데노신이 아니기 때문에 커피에 의해 각성하는 효과가 발생됩니다.
271
272
273
274
2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