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걸리면 체력이 원래 많이 떨어지나요 저하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대부분의 증상은 4주 이내 호전되지만, 일부 환자는 수주에서 수개월동안 다양한 증상이 지속될 수 있는데 이를 ‘코로나 장기 후유증(long COVID)’이라 부릅니다. 완치되더라도 우리 몸의 전신에 바이러스가 염증반응을 일으켰기 때문에 뇌, 눈, 코, 구강, 심혈관계, 폐, 피부 등에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2. 오미크론은 주로 상기도와 호흡기 부위를 중심으로 염증이 발생되는 특성으로 회복 후에도 기침과 목의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외에 미각, 후각이상, 우울증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 저하(brain fog), 흉통, 두통, 빠르거나 두근거리는 심장 박동, 관절통, 근육통, 복통, 설사, 불면증, 수면장애, 발열, 현기증, 일상 기능 및 이동 장애, 발진(두드러기), 생리 주기의 변화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3. 호소하시는 피로감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증상이 악화되는 느낌이 드시면 병원에서 검사를 추가적으로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Q. 코로나 후유증인데 얼마나 길게 갈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대부분의 증상은 4주 이내 호전되지만, 일부 환자는 수주에서 수개월동안 다양한 증상이 지속될 수 있는데 이를 ‘코로나 장기 후유증(long COVID)’이라 부릅니다. 완치되더라도 우리 몸의 전신에 바이러스가 염증반응을 일으켰기 때문에 뇌, 눈, 코, 구강, 심혈관계, 폐, 피부 등에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2. 오미크론은 주로 상기도와 호흡기 부위를 중심으로 염증이 발생되는 특성으로 회복 후에도 기침과 목의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외에 미각, 후각이상, 우울증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 저하(brain fog), 흉통, 두통, 빠르거나 두근거리는 심장 박동, 관절통, 근육통, 복통, 설사, 불면증, 수면장애, 발열, 현기증, 일상 기능 및 이동 장애, 발진(두드러기), 생리 주기의 변화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3. 기침의 경우 1~2주 내외로 보통 사라지지만, 기침 증상이 악화되어 심하게 숨이 차거나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되는 후유증이 생기면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 보는것을 권장드립니다.
Q. 코로나 백신 부작용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의 결과로보면 노바백스가 전체적으로 이상반응은 적게보고되고있습니다.노바백스 백신 1차 접종자를 대상으로 접종 이후 7일까지 증상 발생을 모니터링한 결과만으로 비교해보면, 접종부위 이상반응 증상은 통증(33.3%)이 가장 많았습니다. 전신 이상반응은 피로감(24.7%), 근육통(21.5%), 두통(20.4%), 어지러움(10.7%), 발열(10.4%) 순이었습니다. 증상은 대부분 접종 1∼2일 차에 가장 높고 이후 점차 감소해 다른 백신의 증상 발생 경향과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다른 백신 1차 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증상 호소율과 비교해보면, 화이자 백신(15.1%), 아스트라제네카 백신(41.5%)보다 높았으며, 얀센 백신(50.7%), 모더나 백신(52.6%)보다는 낮았습니다.
Q. 노바벡스 백신 부작용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노바백스 백신은 합성항원 백신으로 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만든 항원 단백질을 직접 주입해 체내에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습니다. 독감, B형 간염, 자궁경부암 등 각종 백신에 전통적으로 쓰여온 방식입니다.현재 아스트라제네카와 같은 바이러스벡터 백신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 화이자 모더나에서 만든 mRNA 백신은 심근염·심낭염이 대표적 부작용으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어, 안전성 측면에서는 노바백신이 뛰어나다는 결론입니다.다만 노바백스 백신도 임상결과에서 심근염 발생 사례가 나온 바 있습니다. 백신 투여와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영국 임상에서 심근염 1건, 미국 임상에서 ▲혈관부종 ▲중추신경계염증/비골신경마비/말초신경병증 ▲바데도병/감상선기능항진증 ▲혈소판감소증 등 4건이었습니다.2. 실제 올해 2월부터 노바백스 백신 1차 접종자를 대상으로 접종 이후 7일까지 증상 발생을 모니터링한 결과만으로 비교해보면, 접종부위 이상반응 증상은 통증(33.3%)이 가장 많았습니다. 전신 이상반응은 피로감(24.7%), 근육통(21.5%), 두통(20.4%), 어지러움(10.7%), 발열(10.4%) 순이었습니다. 증상은 대부분 접종 1∼2일 차에 가장 높고 이후 점차 감소해 다른 백신의 증상 발생 경향과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다른 백신 1차 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증상 호소율과 비교해보면, 화이자 백신(15.1%), 아스트라제네카 백신(41.5%)보다 높았으며, 얀센 백신(50.7%), 모더나 백신(52.6%)보다는 낮았습니다.3. 노바백스백신은 원래 기존 다른 백신접종후 이상반응이 나왔던 분들에게만 3차로 교차접종을 허용했지만 오는 4월 14일부터 mRNA 백신 접종 금기·연기 대상 이외에도 노바백스 접종을 희망하는 경우, 노바백스 백신으로 3차 또는 4차접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