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준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전문가입니다.

김준영 전문가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생후 한달 조금 넘은 아기가 잠을 자려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보호자가 도와주세요.먼저 아이방 환경이 중요합니다. 적정 온/ 습도를 유지하고는 계신가요 ?온도는 약 20 ~ 30도 사이, 아이의 상태를 계속 살펴보면서 온도를 조절하시며,습도는 약 50 ~ 60% 사이를 유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또, 보호자가 항상 옆에 있다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쉽게 잠에 들 수 있도록 토닥여 주거나 안아주는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신생아 잠을 푹 못잡니다...ㅠㅠ 조언좀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신생아 때는 얕은 수면을 반복하여 자다 깨다 하는 것이 일상적입니다.물론, 잘 자고 얌전한 아이도 있지만 반대로 질문자님 아이처럼 잠을 쉽게 들지 못하는 아이들도 더러 있구요.아이가 어딘가 불편해서 잘 못자는 것은 아닌지 환경 점검이 가장 먼저일 것으로 보이고,어떤 이유로 불편한 것인지 확인이 된다면 그 원인을 해소할 필요가 있어요.다음으로, 아이의 타고난 기질, 성향 때문에 그런 것일 수도 있구요.아직 생후 4~5개월까지만 버텨내시면 조금 더 수월한 육아를 하실 수 있을 겁니다.만약 그럼에도 아이 건강이 걱정된다면, 전문의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애기들은 왜 뒤집기를 시작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뒤집기는 보편적으로 생후 3개월 쯤인 90일 경 부터,더딘 경우 약 7개월 전후로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뒤집기가 중요한 이유는 아이의 성장발달과 연관이 있습니다.신체를 움직이고 조절하는 능력이 발달하기 위해서 자연스럽게뒤집기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24개월 아이의 언어지연..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언어지연, 언어발달의 경우는 개인차, 성별 차가 큰 편입니다.허나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점은 아직 질문자님의 아이가 어리고, 언어이해력, 수용언어가 뛰어난 편이라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24개월 이라고 하셨는데, 해당 시기 이후 어느 날 말이 트기 시작하면 유창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만약에 24개월이 되도록 의미있는 말을 단 한마디도 못한다면정신지체, 발달성 언어장애, 자폐증과 같은 발달장애를 앓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할 수도 있겠으나그건 아닌 것 같아서 다행이라고 보여집니다. ^^올바른 교육을 통해 아이 행동 개선에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어려워진 가정경제 상황을 자녀들에게 알리는 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모든 것을 다 자녀에게 오픈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만,아이들이 부모의 경제적 상황을 어느정도 인지하고, 본인의 소비 패턴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은 필요해 보입니다.물론, 사실을 들었을 때 아이들은 다소 혼란스러울 수도 있겠습니다만,아이들의 눈 높이는 어느정도 고려하셔서 소비 패턴을 조절할 수 있도럭 해 주세요.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기가 낮잠이 줄어들었는디 괜찮나요ㅡ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전체 권장 수면 시간은 어떤 편인가요 ?밤 잠에 잘 드는 편이라면, 낮잠이 조금 줄었다고 하여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될 것으로 보여요.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초등 고학년 토익RC 점수 올리는 방법은 단어 암기가 중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문법이랑 단어 암기, 2가지만 해서 고득점을 이뤄낼 수는 없습니다.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영어공부의 기초이자 핵심이며, 공부를 하나도 하지 않고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는 자녀분의 역량에 찬사를 드립니다. ^^가급적, 단어암기와 문법도 병행하셔서 더 좋은 성적을 이뤄내도록 해 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높은곳에 올라가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위 시기의 아이들은 전정감각 추구, 높은 곳 올라가는 감각을 추구하는 시기입니다.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만, 안전에만 유의해 주시면 되겠습니다.가급적 바닥에 충격방지 매트를 깔아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놀이
놀이 이미지
Q.  거짓말을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의도적이지 않은 거짓말의 경우 만 4~5세에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현재 질문자님의 아이 시기로 보입니다.다행인 것은 학령기에 접어들면 대부분 그러한 증상은 완화된답니다.목적을 가진 거짓말의 경우에도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지속적으로 아이에게 거짓말은 옳지 않은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나,아직까진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올바른 교육을 통해 아이 행동 개선에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침마다 단 걸 찾는 아이 습관을 어떻게 고쳐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많은 부모님들이 위와 같은 일들을 직접 겪고 계실 것입니다. 물론 아이가 달고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스스로 당근과 같은 채소를 간식으로 즐긴다면 걱정할 것이 없겠지요.. 현실적인 접근 방식은 아이들이 무조건 달콤한 간식을 먹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아이들이 과자를 좋아 한다는 사실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 아이에게 초콜릿이나 사탕과 같은 달콤한 간식들을 억지로 늦게 소개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아이가 이러한 간식들을 엄마가 아닌 친구나 TV를 통해 접하게 된다면 더욱 나쁜 간식 습관을 가지게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18개월에서 2살이 될 무렵 올바른 설명과 함께 자연스럽게 아이에게 조금씩 소개시켜 주세요. ♦ 달콤한 간식을 먹으면 바로 양치를 해야 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교육해 주세요. 간식 안에 포함된 설탕과 전분들이 충치를 유발하기 때문에 간식을 섭취한 후에는 아이가 바로 양치를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아이가 좋아하는 간식을 이용해서 아이를 유혹하지 마세요. 많은 부모들이 아이가 말을 잘 듣게 되면 보상으로 달콤한 간식을 주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간식을 이용해서 아이에게 달콤한 유혹을 하는 것은 오히려 아이가 달콤한 음식을 더욱 갈구하게 만들게 됩니다. 어떠한 행동의 보상으로 달콤한 간식을 주는 습관 대신에 올바른 식사 후에 조금씩 아이가 달콤한 간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교육해 주세요
7172737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