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금속을 분해하는데 사용되는 화학 물질이 있다는데 어떤 것들이 쓰이고 어떻게 분해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광범위한 질문이긴 합니다.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금속들은 전부 제련이라는 화학적으로 금속을 녹여서 불순물을 제거한 상태로 사용하고 있는 것 입니다. 자연에서 체굴을 하면 순수한 형태가 아니라 암석형태로 뭉쳐져 있기에 이것을 물리적으로 절단하고 열로 녹여 화학적으로 제련을 해야 우리가 사용할 수있는 형태로 가공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순수한 금속을 얻기 위해서는 쉽게 금속덩어리를 녹이고(이온화시키고) 녹인 용액에 양극과 음극을 넣은뒤 전기를 흘려주게 되면 금속은 전기를 잃고 이온화 되는데, 이 이온화된 금속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얻어 음극쪽에서 순수한 금속들이 뭉치게 되는게 이게 순도높은 금속을 얻는 방법입니다.화학의 산화환원 반응을 사용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암막블라인드 뒤 알루미늄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무해합니다.알루미늄은 보호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햇빛에 노출되어도 유해물질이 나오는 재료가 아닙니다. 알루미늄 호일을 생각해보시면 되는데 음식 조리에도 많이 사용되며 만약 인체로 흡수가 된다고 해도 채외로 금속이라 쉽게 채외로 배출이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산업혁명이후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헀는데 도시화가 기후변화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도시화 자체가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도시의 산업구조가 고도화 되다보니 자연스레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의 배출량이 늘어가게 됩니다. 기업이 만들어내는 온실가스 뿐 아니라 개인이 만들어내고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도 늘다보니 엄청난 양의 온실가스 배출 공장이 만들어지는것 입니다.도시가 배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니 심각한 상황입니다. 또한 도시화로 녹지가 줄어드니 도시의 열섬현상도 높아져 도심의 온도도 올라가게 됩니다.하지만 문제가 도시로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도시안에서 문제를 풀어내면 된다는 장점도 있긴하지만 고도화된 도시를 친환경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탄소세는 어떤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제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탄소세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와 같은 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기업이나 제품에 경제적으로 추가적인 세금을 메기는 정책 입니다.배출량을 조사하여 제품과 활동에 사용되는 탄소의 함량에 비례하여 세금이 추가 됩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탄소세를 줄이기 위해 기업에서도 re 100 과 같은 친환경에너지를 통한 기업활동을 하며 제품에도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며 기업이 수입하고 사용하는 제품에도 재생에너지를 통해 만든 제품만 수입하는 방식으로 탄소세를 줄이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기후변화로 인해 보험 산업이 직면하는 위험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기후변화와 보험산업의 변화는 직접적 입니다. 특히나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다보니 과거의 기준으로 만들어진 보험들의 손해율이 계속 올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다보니 보험사의 적자가 올라가고 보험사들의 보험사인 재보험사들도 손해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보험사들은 보험료를 부동산이나 채권등을 통해 투자하여 회사를 유지하는데 구매했던 자산가치마저 떨어지다 보니 이중고인 상황입니다. 그래서 미국의 경우는 특정지역은 자연재해에 대한 보험이 불가능 한 지역이 많으며 갈수록 기후와 관련된 보험상품의 판매가 중단될 것이며 한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전세계적으로 이와같은 현상이 나타날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90년대 미술작가 중에 로버트 아네슨의 주요작품 및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로버트 아네슨의 작품은 사실 그리 유명한 작가는 아닌데 질문 주시는게 신선합니다.저도 직접 본적은 없지만 확인 해보니 1930~1992년 미국에서 활동했던 작가로 키치라고 하는 전통의 예술을 비꼬는 류의 작품들을 많이 한 작가 입니다. 펑크미술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작가는 유머스러운 작품을 많이 만들었습니다. 가장 유명한 작품은 그의 대표작인 “California Artist” (1982) 입니다. 도자기를 활용하여 캘리포니아의 엘리트 미술을 비판하기 위한 캘리포니아 스탈의 남자를 묘사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가장 비싸게 팔린 작품은 크리스티 뉴욕에서 'audio visual' (1974) 작품으로 대략 1억원 정도의 가격으로 판매가 될 기록 이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현애 예술에서 가상현실 전시가 기존 전시와 다른 감각적 경험을 주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사실 미술관에서 해설을 하고 있는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미디어아트 전시, 그중에서도 명작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전시는 전시라고 말하기 부끄러울 정도 입니다.실물이 가지고 있는 크기보다 더 크게 직접 마치 들어가서 본것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지 실제로 실물이 가지고 있는 붓터치과 묘사를 직접 보았을 때의 그 감동과는 전혀 다른 감동이기 때문입니다.고흐가 자신의 작품이 움직이기를 바랬을 까요? 실물이 주는 감동에 오히려 방해가 되는 명작 미디어아트 전시들은 저는 좋게 보지 않습니다.하지만 현대미술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창작의 도구로 사용하는 vr과 미디어는 얼마든지 환영이지만 정말 티켓 판매만을 위한 원작 하나 없는 미디어아트 전시는 사라져야 할 전시로 저는 말하곤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현대 미술시장에서 NFT 아트가 주목받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미술시장에서 nft 가 이제는 주목받지 않고 영향력도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질문과 반하긴 하지만 nft 가 최초에 나왔을 때 희소가치를 가진 작품의 조각과 개념의 권리로써, 그리고 하나뿐 nft 의 가치가 더해서 인기를 반짝 끌기는 하였으나 요즘은 거래가 큰폭으로 감소했습니다.세계 최대의 미술품 경매회사인 소더비와 크리스트도 한때 nft 를 경매하였으나 요즘은 매물과 거래량들이 급감한 상황입니다. 질문하신데로 소유에 대한 법적인 문제도 있고 미술품 전통시장의 희소가치와 부딪히는 부분때문에 전통 부자들은 거래를 하지 않는 품목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그리스에서 조각상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오 대리석에 채색했다는 글은 알고 계시는군요대리석 자체의 색과 광택만 가지고도 워낙 뛰어난 작품이라 채색이 되었을거라고 사실 최초에는 상상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후대에 기술의 발달로 염료의 흔적은 분석할 수 있게 된 이후로 채색에 대해 밝혀지게 되었습니다.낙화법은 당시에는 유화가 발달하지 않았기에 자연으로 부터 구한 염료를 밀랍과 송진으로 덧바른 다는 개념으로 뜨거울때 칠했을 때의 기법 입니다.그리스 조각상의 대표저인 특징이라면 고전시대의 사실감 넘치는 형태로 콘트라포스토 라는 두다리를 수직으로 서있는것이 아니라 한쪽다리를 체중을 실어 구불이면서 한쪽 다리는 편하게 두는 대표적인 자세로써 조각의 자연스러움과 역동성을 더하는 자세가 가장 큰 특징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한국의 수산시장이 변화를 겪게 되는 시기가 점점올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극적인 변화는 벌써 일어났습니다, 우리나라의 해수면 온도는 지구 평균보다 두배이상 크게 높아졌습니다. 이제 우리의 해산물의 반찬이 바뀌게 될 것 입니다. 수온이 올라가다보니 기존의 한류성 어종들 명태나 꽁치등의 어획량이 급감하였고 명태는 씨가 말랐다 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반면에 난류나 아열대성 어종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반찬의 종류가 바뀔뿐 다른 종류의 어종으로 식탁이 대체가 될 예정입니다.잘 잡히지 않았던 방어나 참치와 같은 어종들이 쉽게 잡히게 될 예정입니다. 사실 해수면 온도상승은 우리나라와 같은 반도국가에게는 피해만은 아닙니다. 기존의 양식장들도 문제가 있긴하지만 잘 안잡혀서 귀했던 어종이 도리어 쉽게 잡히게 되기도 하거든요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