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다에 사는 물고기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바다를 대표하는 물고기종류는당연하게도 식탁에오르내리는 어종입니다.첫번째로 곧등어는 하얀배와 푸른등을갖고있고 식물성플랑크톤고 작은물고기를먹고살아갑니다.연어는 주황색을 띤살코기를갖고있고강에서태어나 바다로나가 다시 강으로돌아오는 회귀특성을 가지고있습니다.참치는 크고 강한몸을갖고 회색과 푸른색 그 중간의 몸과 배는 하얀색을 갖고있습니다.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 중하나입니다.넙치는 평평한몸을갖고 한쪽에 두 눈이 몰려있는데,바닥에 붙어서살아가는 저서성물고기입니다.모래나 진흙바닥에서 위장하고 살아갑니다.갈치는 긴 몸을갖고있고 심해와 표층을 왔다갔다하며 살아갑니다.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제주도에서 잘 잡히고몸은 은색빛을 띠는것이 특징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산소농도범위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공기안의 산소는약 21%의 비율로존재하는데,사람들은 이 비율에서 오랜시간살아왔기때문에21%가 적정농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16%이하로 떨어지면 호흡곤란이나 피로감을 느끼고10%이하라면 의식상실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합니다.또한 23.5%이상으로 높아지면 산소중독증세를 나타낼수있습니다.조금더 브로드하게 범위를잡자면 19~21%정도의 산소농도가 살아가는데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곰장어는 시력을 가지고 있는 생물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곰장어는 시력을 거의사용하지않는 생물이고 600미터 깊은곳에서 사는 생물이기에 시력이 그렇게 중요하지않습니다.주로 다른감각을 통해서 생존하는 방식으로 진화했는데,촉각이나 화학수용기등을통해서 주변환경을 파악하고 먹이를 찾거나 포식자로부터 벗어나미세한 진동이나 화학물질을 감지한다고합니다.즉, 심해에서 시력이아닌 다른감각으로 살아간다고 요약할수있겠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수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보름달이 뜨는 시기에는 조업을 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보름달이뜨는시기에는 달빛이강해밝은빛을 피하는경향이있는 해양생물들이표층수부근으로 잘 올라오지않는다고합니다.고등어나 갈치같은 어종은 야행성이기에 이러한 현상이 더 심해집니다.즉, 어획량을 많게하기위해 보름달이뜨는날은 피하는것입니다.또한 조수간만의차도 극대화되는데,파도가 더 심해지기도하고, 어류들이 타고다니는해류의흐름이 크게 변화하기도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등어는 몇 개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지느러미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고등어는 7개의 지느러미를 가지고있습니다.첫번째등지느러미는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두번쨰 등지느러미는 빠른속도로헤엄칠때 안정성과 추진력을 높여준다고합니다.가슴지느러미도 2개인데,방향정환과 균형조절역할을한다고합니다.2개의 배지느러미도 균형을 유지하고 몸이 뒤틀리지않게 수평을 유지해준다고합니다.꼬리지느러미는 헤엄칠때 강한추진력을 만들어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해양생물 중에서 헤엄치는 속도가 가장 빠는 동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해양생물중에는 검은꼬리 청새치라는종이 가장 속도가빠르다고합니다.시속 133.5키로미터의 속도로 헤엄칠수있다고합니다.일단 몸이 유선형이고, 꼬리부분의 근육이 매우크고 잘 발달해있다고합니다.또한 지느러미와 꼬리도, 앞쪽으로뾰족한 입의모양등이물살을가르며 빠르게 앞으로나아갈수있는 구조가 된다고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코로나19 백신은 효과가 정말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실제로 코로나 19 백신은 감염예방효과가 있었다고합니다.특히 델타처럼 초기백신들이 감염률을 크게 줄이는데 도움을 주었다고하고백신을 접종한사람들이 맞지않은사람드렝비해 걸릴확률이 낮았다고합니다.두번째로 중증으로 넘어가는것을 막아주기도했습니다.백신을맞아도 코로나에 걸렸던사람들은 중증으로까지 넘어가지않고비교적 경미한 증상으로 나타났다고합니다.또한 수백만명이상 접종을받으면서 그 안전성이 확인되기도 했습니다.통계적으로 이미 효과가있었다고 판단되고있으니0%라고하는것은 유언비어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산호초는 어떤 해양 생물들에게 서식지를 제공하며,어떻게 살아가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산호초는 다양한 생물들에게 중요한 서식지입니다.먼저 산호초에 사는 어류들은 산호안에숨거나 보호받으며살아가고갑각류나 새우 게 등도 이 산호의 분해산물을 먹으며 살아갑니다.또한 플랑크톤이나 조류들과도 공생관계를 형성하는데,조류들은 광합성을해서 산호에게 영양을 제공합니다.이런 산호초에는 해양생물의 약 25%가 서식하고있고여기서 먹고 번식하고 서식하고있습니다.마치 육지의 숲과같은 역할을 하는것입니다.산호의 종류에는 크게 하드코랄과 소프트코랄이 있는데,하드코랄은 석회질골격으로 가장 많이발견되고,무지갯빛 산호를 만들어냅니다.소프트코랄을 주로 부드러운조직을 갖고있는데,주름진형태를 갖거나 천천히 움직이는 특징을 갖고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심해에 사는 생물들은 어떻게 높은 압력에서 살아남을 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심해에 사는 생물들은 다양한구조를갖고있는데,먼저 압력에 강한 세포막구조를 갖고있습니다.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서 압력에의해 파괴되지않도록 보호됩니다.또한 단백질구조가 압력안정화단백질과같은 특수한 단백질을 섞어서몸을 탄력있고 질기게만들어집니다.그리고 심해생물들은 체내에 기체를 전혀 포합하고있지않은데,대부분 물로 채워진조직을 갖고있어 몸안쪽과바깥쪽의압력차이를 비슷하게 만들어줍니다.그래서 부레와같은 조직도 없죠그리고 느린 대사속도를 갖고있어적은 에너지원으로도 생존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독특한특징으로는 눈이 퇴화되고특수발광기관가같은것들이 발당해있습니다.또한 골격이 부드럽거나 축소된 연골형태로 이루어져있습니다.이러한형태는 수만년에걸쳐서 진화된 결과라고 볼 수있으므로하나의 개체는 태어날때부터 이런 특징을 갖고있다고 볼수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곰팡이는 어떤 생물학적 작용으로 주변 환경에서 영양분을 흡수 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곰팡이는 효모나 버섯과같은 진균류에 속하는데,세포벽이 키틴으로 이루어진 진행생물입니다.먼저 포자 발아를 통해 습기와 유기물을 발견하는즉시발아튜브를 만들어내고 균사를 발달시킵니다.균사는 곰팡이들의 주요구조인데, 실이나 섬유같은 모양을 갖고있습니다.이 균사가 영양분사이사이로 침투하고 영양소를 이균사안쪽으로흡수합니다.또한 소화효소를 분비해서 더 작은 단위로만들고 흡수하기좋도록 만듭니다.충분히 영양분을 빨아먹은뒤에는 포자형태로변해공기중으로 퍼져나가 다른 곳에서 또다시 자라기 시작합니다.
76777879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