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우주 공간에는 먼지도없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먼지같은 성분들은 당연히 없고,, 거의 진공에 가깝습니다. 즉, 완전 진공은 아니지만 사실상 진공상태, 즉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 매우 가깝다고 생각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겨울에 눈이 내리는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구름에서 빗방울이 모여서 비가 되는데, 겨울에 추운 날씨에 의해서 빗방울이 내리면서 응결되고 얼음결정이 뭉쳐지면서 눈이 되어서 내리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태양에 있는 흑점은 왜 존재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양의 흑점은 태양 표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활동으로 인해 생긴다고 합니다. 태양의 자기장이 매우 강하게 변동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온도가 낮아지는데 그에 따라 그 지역이 주변보다 어둡게 보이게 되면서 흑점이 관찰될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어떻게 미래의 날씨를 예측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인공위성등도 기상 관측 데이터 수집에 도움될 수 있겠습니다. 기상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컴퓨터 모델이 대기의 변화를 계산하여 이루어집니다. 위성, 레이더, 기상 관측소등 다양한 방법으로 얻은 데이터를 사용해 슈퍼컴퓨터가 수많은 변수들을 계산하여 미래의 날씨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구름의 무게는 얼마나 되며 질량을 어떻게 측정이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구름의 크기를 측정하고, 물방울 농도를 측정해서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평균적인 뭉게구름은 약 500톤에서 1,000톤 정도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지구에서 인류가얼마정도 생존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그걸 예측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워낙 변수가 많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기후변화등 변수가 워낙 많아서 인류가 큰 변화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수천년을 버티기 어려울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인공지능등 새로운 혁신적인 기술개발로 어려움을 극복해내야 인류가 생존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우주왕복선을 1회 사용하는데 비용이 어느정도 들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왕복선의 비용은 워낙 천차만별일 수 있겠습니다. 2018년 나사 문건에 따르면 우주왕복선의 1회 발사 비용은 15억달러라고 하고, 2023년 화폐가치로는 18억달러에 해당한다고 하네요. 워낙 변수가 많을 수 있어 참고치 정도로 생각해야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태풍은 주로 여름에서 초가을까지 발생하는데요.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와 태풍발달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풍은 주로 여름에 발생하는데, 따뜻해진 바다에 의해 상승기류가 생기고, 지구의 자전에 의한 편향력의 영향을 받아서 태풍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루나17호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루나 17호는 1970년 소련이 발사한 무인 달 탐사선입니다. 최초의 달 탐사 로버인 루노호트 1호를 통해 달 표면을 주행하며 지형 탐사, 샘플 분석, 온도 및 방사선 측정 등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우리우주에는 태양계와 같은 항성계가 어느 정도나 존재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관측가능한 우주 범위에서는 은하가 2조개 정도 있고, 각각의 은하에는 수억에서 수천억개의 항성이 있다고 합니다.2조 * 1000억 정도 하면 추정치가 나올수 있겠습니다. 물론 관측가능한 우주내에서이고 그 너머는 알기 어렵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