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9일 작성 됨
Q.
새벽에 안개가 많이 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습도가 높은 곳에서 지표면이 차가워지면 공기중의 물방울이 응결되면서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은 새벽에 주로 관찰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9일 작성 됨
Q.
달에는 어떠한것들이존재하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의 중력은 지구의 1/6 정도라고 합니다. 달에는 대기가 없어서 지표면 외에는 특별한 것들이 없을거 같네요. 대기가 없어서 분화구등이 다양하게 존재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8일 작성 됨
Q.
천둥소리와 번개치는 시간으로 낙뢰거리계산하는 방법이?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빛의 속도는 사실상 순식간입니다. 소리의 속도는 약 초속 300m 라고 보면 번개친후에 8초 후에 천둥소리가 들리면 2400 m 떨어진곳에서 방전현상이 일어났다고 보면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8일 작성 됨
Q.
천둥번개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구름 내부네서는 양전하와 음전하가 분리되면서 전하의 불균형이 생깁니다. 이때 생기는 전기적 방전을 번개라고 하고 그때나는 소리를 천둥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7일 작성 됨
Q.
눈을 물로 만들어서 먹어도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아무래도 도시에 있는 눈은 여러 형태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겠지만, 깨끗하게 모을수 있다는 전제라면 눈을 녹여서 먹어도 괜찮을 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6일 작성 됨
Q.
우주는 언제 어떻게 태어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는 작은점에서부터 엄청난 속도로 확장되어 지금도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우주의 탄생시점은 약 138억년 전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대기는 지구 표면으로 부터 얼마의 고도까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대기권은 1000km 까지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전체 공기의 99% 는 지상 32km 이내에 밀집되어 있다고 합니다.고산지대에서 적응이 어렵지만,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을은 해발 5000m 정도에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오물 풍선은 무게가 상당한데 어떻게 우리나라까지 도달하는지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헬륨등 가벼운 기체를 이용하여 풍선을 띄우고, 바람의 방향을 파악해서 남쪽으로 강하게 불때 보낸다고 합니다. 타이머가 있어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터져서 오물이 떨어지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밤하늘에는왜 별이 안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밤하늘이 안보이는 이유는 크게, 대기질의 악화 및 주변불빛이 많아서,, 정도로 생각됩니다.지금도 공기질이 좋고 주변이 어두운 시골에서는 별이 도시보다 훨씬 잘 보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예전에 일본이 가라앉고있다는 기사를 봤는데 지금도 진행중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조금씩 가라앉는다는 의견도 있지만, 별로 차이가 없다는 의견도 있기는 합니다.전세계적으로 해수면이 상승되는데 일본은 좀 더 빠르게 해수면 상승한다는 내용도 있네요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