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3일 작성 됨
Q.
마그마와 용암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땅속에 높은 온도의 액체상태로 있일 때 마그마라고 부르며, 마그마가 분출되어 지표위를 흐르는 상태를 용암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2일 작성 됨
Q.
달이 지구와 충돌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중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달이 더 멀어지지도, 가까워지지도 않고 공전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줄에 공을 연결해서 빙글빙글 돌때 날라가지 않고 '나'의 주위를 도는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우주에대해이야기 할때 가보지도 못한거리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에서 거리를 측정하는데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그나마 가까운 거리는 연주시차를 이용해 측정하며, 별의 밝기를 이용해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 천체에서 오는 빛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서도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겨울은 춥고 건조한데요. 반대로 겨울에 춥지만 습한 나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온도가 낮으면 기본적으로 건조해지는 게 일반적일 것 같습니다. 증발되는 물의 양이나, 강수량이 적을 수 밖에 없고 공기중의 수분도 낮아지는게 일반적일 것 같습니다. 추워지면 일반적으로 건조해진다고 보는게 맞을 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0일 작성 됨
Q.
빙하가 다 녹으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환경 전체적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나서 그걸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겠지만, 가장 먼저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도시들이나, 섬국가가 물에 잠기는 것을 가장 걱정하고 있습니다.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나비효과처럼 생기는 수많은 환경변화는 미리 예측하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6일 작성 됨
Q.
노아의 방주때 대 홍수가 일어났다는 과학적 증거가 있나요??
정확한 지질학적 증거는 모르겠지만, 7500년 전 흑해 주변에서 대량의 홍수가 일어나면서 거대 폭포 및 해저 퇴적층이 발견되었다는 의견도 있네요. 대홍수가 있었다는 근거들은 어느정도 있는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어떻게 사계절이 나타는거죠?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자전축의 방향이 태양을 향해있을때 여름이 되고, 반대일때는 겨울이 될 수 있겠습니다.지구가 태양주위를 계속 공전중이기 때문에 반복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6일 작성 됨
Q.
소나기가 내리게 되는 이유는 어떤 원리인지 궁금해요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아지면서 대기가 불안정한 상황일때 일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증발된 많은 수증기들이 대기중의 물방울과 만나면서 갑작스럽게 비를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6일 작성 됨
Q.
지구 내에서도 또다른 차원이나 새로운 계가 존재 할까요?
상상이나 소설, 영화의 소재로 고민해 볼 수는 있겠지만, 지구 내에 또다른 차원이나 다른 세상이 존재한다는 증거는 전혀 없어서 과학적으로는 의미 없는 내용일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6일 작성 됨
Q.
지구 주위에 태양이 3개 였다면 지구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삼체를 보지 않아서 내용은 잘 모르겠지만, 행성이 3개의 항성 주위를 돈다는 건 어려운 일이긴 할 것 같습니다.태양빛을 어떻게 받는지 영향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여러방향에 태양이 있다면 밤이 없고 낮만 지속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