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인류는 우주를 어디까지 탐사했을까요?
우주는 빛의 속도로 커지고 있기때문에 아떤 방법을 써도 우주가 커지는 부분을 따라잡아서 관측할수는 없습니다.제임스웹등 다양한 방법으로 먼곳의 천체를 관측하는데 가장먼곳 관측한 곳이 334억 광년 떨어져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말씀대로 인공위성이 적절한 위치에 도착한 후 중력과 균형을 이룰정도의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게됩니다.동력이 전혀 없는것은 아니고 태양에너지등을 통해 추진력을 얻을수는 있지만, 안정된상태에서는 추가동력없이 계속 활동할수는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달이나 화성 탐사할때 물 있는지 여부를 꼭 보던데요?
말씀대로 생명체가 존재하려면 물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관심을 가지는 것 같습니다. 먼 미래에 인류가 이주를 할때 고려할수도 있겠지만,, 아마 생명체 등에 대한 관심이 우선한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뉴턴이 만유인력을 발견하지 못하였다면 중력과 인력에 대한 과학 지식이 후퇴했을까요?
어떤 위대한 과학자들로 인해서 과학 진보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결국 시간차이일뿐 다른사람이 밝혀내긴했겠습니다.수년 정도는 과학의 진보를 앞당겼다고 볼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호주 중심부나 사막이 건조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호주 주변으로 남극한류가 지나면서 한랭건조한 기후가 생성되어 강수량이 많지 않다고 합니다.그 외에 가축을 많이 키우면서 식물들이 줄어든 양향도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지진이 잘 일어 난다는 불의 고리가 무엇인가요?
지각판은 퍼즐같은 형태로 나뉘어져있고 맨틀위에 떠다니는 형태입니다. 태평양 주변으로 판들이 만나는 경계부위를 불의고리라고 부르며 이것에서 매우 많은 지진 및 화산활동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건물 옥상을 보게되면 피뢰침이 설치가 되어있는 모습을 보이는데 피뢰침은 무슨 원리로 번개를 흡수하나요?
번개는 비구름내 전하를 띤 영역과 지표면사이의 방전현상입니다.높은 곳에 뾰족하게 설치된 피뢰침은 주변의 이온화시켜서 낙뢰를 흡수하기 용이합니다. 이런 현상으로 피뢰침으로 흡수된 낙뢰를 지표면으로 잘 흘러가도록 장치를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중력지도라는걸 봣는데 실제로 지구에서 중력이 각각다른가요
지도의 지형이나 내부의 물질차이에 따른 밀도등이 달라서 중력이 미세하게 차이가 날 수 있다고 하네요. 지구 적도부근에서는 자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중력이 상쇄되는 부분도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중력지도라는걸 봣는데 실제로 지구에서 중력이 각각다른가요
중력의 차이가 크지는 않겠지만, 중력을 유발하는 지형이나 지구내부의 밀도차이등에 따라서 중력의 차이가 발생하겠습니다.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서 중력이 감소되는 효과도 부분적으로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구름은 왜 있는날이있고 없는날이있나요
구름은 지상의 물들이 증발되면서 수증기 행태로 상승되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상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여러 이유가 있지만 수증기가 충분히 올라갈수 있는 상승기류등이 없을때는 구름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161
162
163
164
1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