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하늘을 보면 여러 별들이 있는데 도대체 얼마나 떨어진 별들인건지 우리 눈에 어떻게 보이는건지 궁금합니다!!!
말씀대로 굉장히 먼 거리에 있는 별들이 우리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별들의 에너지가 워낙 크고 우주는 대부분 비어있기 때문에 특별히 빛을 막는 물질이 없어서 입니다.별들의 거리는 다 제각각이어서, 실제로 밝아보이지 않지만 훨씬 더 큰 별인 경우도 많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챌린저호의 폭발사건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첼린저호 폭발의 원인은 고무 재질로 된 패킹이 추운 날씨로 인해 얼어 버려 제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문제제기도 있었으나 출발이 강행되었고, 탄력성이 부족해져 발사 후 그 틈으로 새어나온 고온, 고압의 연료에 불이 붙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하늘에 구름이 많을때도 있고 적을때도 있는데 구름을 보고도 날씨예측이 가능한가요?
구름이 많거나 먹구름이 있다면 비가 올 거라는 예측이나, 구름의 흐르는 방향등으로 풍향이나 풍속등을 체크할 수 있겠습니다. 더 자세한 건 잘 모르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태풍은 최대 몇일까지 갈 수 있는걸까요?
일반적으로 태풍의 평균 수명은 5일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길게 유지되는 경우는 15일 정도까지 유지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한달은,, 조금 어려울 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오존층은 산소로만 생길 수 있는 것인가요?
오존층은 산소가 자외선의 영향을 받아서 분해되었다 합쳐지는 과정에서 만들어지게 됩니다. 꼭 생물이 있어야되는 건 아니고, 산소가 있으면 만들어질 수 있겠습니다. 프레온 가스등을 사용하지 않은 후에 오존층이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지구의 위성인 달은 어떻게 생긴건가요?
달이 어떻게 생겼는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다른 천체가 지구와 부딪히면서 지구의 일부분이 떨어져나가 달이 된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지구와 가까워진다면 밀물과 썰물등의 영향이 더 커질수 있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태양열이 우주에서는 올라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주에서는 올라간다기 보다는 높은 고도에서 추운이유를 물어보신 것 같습니다.지구는 태양에너지를 받아서 온도가 올라가는데, 태양에너지 흡수후에 지표에서 열을 다시 방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표 근처에 있으면 온도가 올라가고, 높은 산에서는 지표에서 방출하는 열이 적어서 추워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1일 작성 됨
Q.
태풍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나비의 날갯짓으로 지구 반대편에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혼돈(카오스) 이론을 설명하는 내용이지만, 태풍의 탄생과는 별로 상관이 없습니다.태풍은 뜨거워진 태양에 의해 상승기류가 생기면서, 그 기류가 지구의 자전의 영향을 받아서 생긴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1일 작성 됨
Q.
물속에도 공기가 존재한다는 말을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물속에도 물론 공기가 어느정도 있습니다. 물안에 있는 산소의 양을 용존산소라고 하는데, 용존산소가 부족해지면 수중생물들이 떼죽음을 당하는 현상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31일 작성 됨
Q.
우주왕복선은 어디로 갔다가 돌아오는건가요?
말 그대로 우주에 갔다가 다시 지구로 돌아오는 것을 왕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계획으로는 우주정거장등을 왕복하면서 여러 사람이나 물자들을 운반하려는 계획이었지만, 여러 실패 사례들이 있어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