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일 작성 됨
Q.
산이나 산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지각은 대류하는 맨틀위에 올라가 있는 양상으로,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지각판이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지각판 + 지각판의 만남으로 지진 및 화산이 생기게 되면, 지각이 아래쪽으로 파고 들게 되면서 높은 산맥이 형성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일 작성 됨
Q.
바다에서 사는 생물화석이 어떻게 육지에서 발견되나요?
여러 케이스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과거에는 그 육지가 바다였을 가능성이 높겠습니다.바다에 살다가 화석으로 남았고, 그 부위가 추후에 육지로 변하면서 바다생물 화석이 육지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을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일 작성 됨
Q.
백두산에는 천지라는곳이 존재하는데 백두산천지에는 어떻게 많은 양의 물이 있는건가요?
천지의 물중 60% 정도는 지하수로 인한 것이고 30% 정도는 비가 와서 보충이 된다고 합니다.지하수와 비가 와서 모여서 합쳐져서 그렇게 많은 물들이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일 작성 됨
Q.
여름 해가 길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구의 자전축은 23.5도 기울어져있기 때문에 태양을 향해서 자전축이 기울어져있을때는 해가 보이는 시간이 더 길어지게.됩니다. 반대일때는 해가 더 짧아지게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일 작성 됨
Q.
달 뒷 표면에 착륙하는 의미가 따로 있을까요?
처음이라는 의미가 있기는 할텐데,, 사실 특별히 달 뒷면에서 엄청난 발견을 할 수 있는건 아닐거 같습니다.최초로 달 뒷면을 탐사한다.. 이정도 의미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2일 작성 됨
Q.
망원경을 통해서 천체를 관측할 때 생명체,...
생명체를 관측하기는 어렵고, 그 행성의 대기를 분석하는 정도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대기나 물이 있는지 정도 추정해서 생명체 살수도 있겠다.. 예측하는 정도가 될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배가 바다에 뜰 수 있는 부력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력이란 물에 가라앉은 부분만큼 물이 밀어내는 힘이 작용되기 때문입니다. 배가 바다에 뜰 수 있는 이유는 구부러져있어서 실제 비어있는 공간까지 포함한 부력을 받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지층은 만들어진 순서대로만 쌓여있나요?
기본적으로 퇴적물이 쌓이게 되는게 시간에 따라 차곡차곡 쌓이게 됩니다. 지진등의 지층활동에 의해 위아래가 역전되거나 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시간 순서로 쌓이게 되기 때문에 과거 지층연구를 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항성과 행성의 무엇으로 구분하게 되는건가요?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을 항성이라고 하고, 항성주위를 공전하는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천체를 행성, 행성을 돌고 있는 천체를 위성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6월 1일 작성 됨
Q.
오르트구름에 대하여 설명 요청드립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를 둘러싸고 있다고 생각하는 가상의 천체집단을 말한다고 합니다. 먼지와 얼음조각으로 이뤄져 있으며 혜성의 근원지라고 추측한다고 합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