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유럽에는 다른 곳과 달리 왜 태풍이 오지 않나요
태풍은 적도부위의 뜨거워진 바다에서 지구 자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위도 5~10 사이에서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태평양에서 가까워서 동남아시아 부근에서 태풍이 많이 관찰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하늘이 파란 이유가 궁금합니다...
빛은 빨주노초파남보 등 여러가지 색깔이 합쳐져서 이루어져있는데 지구대기에서 파란색이 잘 산란하기때문에 우리눈에는 파란색이 잘 보이게 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자전속도가 2배가 되면 지구에 일어나는 현상은?
수많은 변화가 생기겠지만, 가장먼저 하루가 짧아지게 되겠고, 자전에 의한 원심력이 증가하여 적도부위로 바닷물이 더 모이게 되고, 자전에 의해생기는 태풍등도 더 자주 생길수도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지구에 다른행성처럼 행성고리가 생기면 어떤일이 생기나?
행성고리는 여러먼지나 얼음조각, 암석등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고리가 있다면 하늘에서 고리를 볼 수 있겠고 부분적으로 태양빛을 가리거나 그림자등이 생길수도 있겠습니다.인공위성등이 부딪힐 위험이 높어 난이도가 올라갔을수도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생물의 사체가 석유가 되기 위해서는 얼마나 오래 걸리는지 궁금합니다.
생물의 사체가 오랜시간 압력과 열을 받으면서 석유가 생성된다고 추측하기는 하지만 아직 정확히 석유가 되는 과정을 알지는 멋한다고 합니다.특정조건에서 최소 수십만년~ 수백만년 정도 시간이 필요할것으로 추정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블랙홀은 빛조차 빨아들여 눈에 안보이는데 어떻게 탐지하나요?
말씀대로 블랙홀은 빛을 흡수해서 그 자체를 직접 관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블랙홀을 찾게 되는데, 블랙홀 주변의 물질들은 불랙홀에 의해 가열되어 오히려 높은 에너지를 방출한다고 합니다.그런 주변부를 관측해서 블랙홀을 간접적으로 관측해야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일기예보는 언제까지 예측 가능한가요?
여러가지 수치들로 계산을 해서 일기예보를 하기는 하겠지만 말씀대로 가까운 시기일수록 정확도가 높아지겠고, 1달이사 기러진다면 날짜별 예측은 틀릴 가능성이 많을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민간 우주 탐사와 국제 협력에 대하여 질문
스페이스X 등에서 민간업체의 기술력을 보여주면서 민간기업의 잠재성을 보여줬기때문에, NASA등과도 협업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것 같습니다.국가별로 기술력에 차이가 있기때문에 서로 돕고 도우면서 여러 형태의 협력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 얼마나 있을까?
아무도 정확하게 폭발가능성을 예측은 못하고 언젠가는 폭발할거다.. 언제가 될지는 알기 어렵다 정도라고 생각되네요화산재들이 날아와 농작물등에 피해가 클수는 있지만 생명에 큰 위협을 주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천재지변은 대부분 특별한 보상 받기어려울거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은하가 다른 은하들과 충돌하면 폭발이 생기는 건가요?
은하끼리 합쳐지면 서로의 중력 및 상호작용에 의해 여러가지 현상이 벌어지며 새로은 별들이 형성되기도 한다고 합니다.반면에 별과별들끼리 거리가 워낙 멀어 충돌하는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합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