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지구의 둥근 표면을 보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높이까지 올라가야 눈으로 확인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30km 이상의 성층권에서는 지구의 둥근면이 확실히 보인다고 합니다.하지만 지구 전체의 모습을 관찰하려면 고도 35000km 정도까지 올라가야지 둥근 모습을 전체적으로 볼수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달이 지구의 파편으로 만들어졌다면 달과 지구의 암석 성분은 동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하신 외부행성체와 충돌로 인해 지구의 일부가 떨어져나가고, 일부는 지구와 합쳐졌다고 추정됩니다.따라서 일부분은 비슷하고 차이점도 물론 존재한다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왜 여름에 더 더운가요?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여름에 태양의 고도가 더 높고 오랜시간 떠있게 됩니다. 태양빛이 더 오랜시간 유지되기 때문에 여름이 더 덥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왜 계절이 바뀌는 걸까?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이 공전축에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자전축이 태양쪽을 향해 기울어지면 여름이 되고 그 반대라면 겨울이 됩니다.태양이 떠 있는 고도과 연관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화성은 지구보다 자전축이 매우 심하게 요동쳤다고 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화성은 과거에 큰 천체와의 충돌을 경험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이러한 충돌은 자전축의 기울기를 변화시키고, 자전축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겠습니다.지구는 달과 같은 위성의 영향으로 자전축을 안정화시키는 영향이 있지만, 화성은 그런 영향이 적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달로 인하여 왜 계절이 생겼다고 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계절이 생긴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축에 비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달과 직접 연관은 없지만, 이런 자전축이 기울어짐과 안정화에 달이 기여을 했을수는 있을 것 같네요직접적인 영향은 아니고 간접적 영향을 줬을 수 있겠다.. 이 정도로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지구와 달이 언제 그리고 어떻게 충돌을 했을거라고 추정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와 달의 형성에 대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거대 충돌 가설 (Giant Impact Hypothesis)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약 45억 년 전에 지구가 형성된 직후, 화성 크기의 행성체인 테이아(Theia)와의 충돌로 인해 달이 형성되었다고 추정됩니다. 이렇게 추정하는 이유는 지구와 달의 동위원소 분석이나 화학적 구성으로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등 근거가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중력렌즈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을 하여 관측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중력렌즈란 질량을 가진 천체가 근처 시공간을 휘게 하여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는 현상입니다. 우리가 렌즈라 부르는 물체는 빛의 진행 방향이 꺾이는 굴절이 일어나게 되고 렌즈의 모양에 물체의 모습이 확대(볼록렌즈)되거나 축소(오목렌즈)되어 보이게 됩니다. 중력렌즈도 렌즈 작용을 하는 천체의 중력에 의해 빛의 굴절이 일어나게 되어 광원인 천체의 모습이 여러 개로 보이거나 변형되어 보이고 이로 더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빛이 블랙홀의 중력이 작용해도 속도는 일정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진공상태에서 빛의 속도는 늘 일정한 것이 맞지만,, 중력에 의해서 빛의 경로가 바뀔수 있습니다. 속도는 일정하지만 강한 중력에 의해서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우주 탐사에서의 기술적인 도전 과제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라는 공간 자체가 도달하는 것 자체가 비용이 많이 들어서 장벽이 높다는게 문제일 것 같습니다.기술 발전도 이런부분이 해결된다면 가장 큰 문제는 우주가 너무나도 넓다는 것입니다.태양계 까지는 어떻게 탐사가 가능하지만 그 이상의 탐사를 하려면 최소 수백년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거리가 너무 멀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일 것 같네요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