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구조는 어떤형태로 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의 가장 바깥쪽에 지각이 있고 (전체적으로 봤을때 지각은 아주 얇은 부위를 차지합니다) 그 밑에는 맨틀이 있고, 맨틀의 대류에 의해 지각판이 움직이게 됩니다.그 안에는 지구의 외핵과 내핵으로 이루어져있고 온도와 압력이 매우 높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생태계에서의 물질 순환은 어떻게 이루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생태계에서의 물질 순환은 주로 탄소, 질소, 물, 인 등의 주요 원소가 생물과 환경 사이에서 순환하면서 이루어집니다.탄소같은 경우가 중요하게 생각되는데, 광합성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유기물 형태로 만들어서 동물이 그것을 섭취하고, 사망하면 식물이 다시 동물의 시체를 거름으로 흡수하는 등 순환이 된다고 생각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빅뱅우주론의 증거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가 지금도 빠른 속도로 팽창을 하고 있고, 이것을 근거로 과거를 예측해보면 우주의 크기가 아주 작았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결국 그 시간을 거꾸로 해서 생각하면 아주 먼 과거에는 우주의 크기가 매우 작았을 것이고, 그 폭발하면서 우주가 생기게 된 순간을 빅뱅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 사이에 자외선이 가장 약한 시간대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반적으로 당연히 오후 12 시 근처에서 가장 자외선이 강할 것 같고, 따라서 오전 8시 근처와 오후 5시 근처에 자외선이 가장 약할 것 같습니다.자외선에 잠깐 노출된다고 큰 문제가 되지는 않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자전과 공전은 어떤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가 45억년전에 생성될 때, 먼지와 가스 구름이 수축하면서 회전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초기 회전 운동에 의해 지구는 지금까지 자전을 계속하고 있습니다.태양의 중력에 의해 지구의 원심력과 균형을 이루면서 태양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진이 발생하는 원리와 이를 예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진은 여러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맨틀 대류에 의한 지각판이 부딪히거나 갈라지면서 발생하게 됩니다.따라서 이런 지각판과 지각판의 경계에서 지진이나 화살활동등 다양한 지각활동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산 활동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내부의 뜨거운 열에 의해 마그마가 형성됩니다. 이런 마그마의 분출이 화산폭발로 나타날 수 있씁니다.맨틀의 대류에 따라 지각판과 판이 부딪히거나 갈라질때, 화산이나 지진등의 지각활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그로 인해 새로운 지형이 생기고 자연재해도 발생 시킬 수 있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기후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적 협약 기구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기후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주요 국제적 협약과 기구로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교토의정서, 그리고 파리협정이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기후변화를 막고 예방하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수많은 나라의 이해관계가 얽혀서 사실 쉽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기후의 변화가 생태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급작스러운 기후 변화에 의해서 지구에는 여러차례 대멸종이 일어났다고 생각됩니다.가장 흔하게 날씨가 매우 추워지고 햇빛이 가려지게 되면서, 식물들이 광합성을 못하고 초식동물이 줄어들고 연쇄적으로 전체 생태계가 균형이 무너지게 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외계인은 이미 지구인 속에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당연히 불가능한 일이고, 영화나 드라마속에서 상상의 산물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가장 가까운 별까지도 거리가 너무 멀어서 접촉을 한다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며, 굳이 지구에서 인간과 똑같은 모습으로 숨어 살 가능성은 없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