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계절이 변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이 공전축에 비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자전축의 기울어짐이 태양쪽인지 반대쪽인지 등에 따라서 일조량의 차이와 계절의 차이가 생긴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발해멸망시기전후 백두산폭발이 정확히 언제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국내 연구진이 ‘천년 분화’(Millennium Eruption)로 불리는 서기 946년 백두산 대폭발이 한두 달 간격을 두고 두 차례에 걸쳐 발생했다는 점을 규명했다.위와 같은 기사가 있네요발해의 멸망시기는 926년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얼마전 미국에 허리케인이 강타해서 막대한 피해를 입혔습니다. 허리케인이 예전보다 더 강해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허리케인이 예전보다 더 강해진 주된 이유는 기후변화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온난화된 바다는 허리케인이 더 강력하게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구온난화와 연관된 기후 변화가 허리케인이 강해진 이유가 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일본은 몇번째로 달에 달탐사선을 보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본은 2024년에 달 탐사선 "슬림"을 달에 착륙시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한 국가가 되었다고 합니다.2023년 9월에 발사. 2024년 1월에 착륙 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곰벌레는 정말 지구의 존재가아닐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곰벌레는 극한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신비롭게 생각됩니다. 하지만 당연히 지구상의 존재가 아닐 가능성은 없을 것 같네요곰벌레는 생존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신진대사를 거의 중지시켜서 동면에 가까운 상태로 생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오래전 지구에는 바다가없엇다고 하는데 어떻게 바다가 생겨난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화산활동을 통한 물의 방출초기 지구의 화산활동에서 방출된 기체 중 수증기가 포함되었고, 그 수증기가 응결하여 지구 표면에 물이 축적되었습니다. 혜성과 소행성초기 태양계 형성 과정에서 지구는 많은 혜성과 소행성의 충돌을 겪었는데, 그 때 얼음형태로 포함된 물이 유입되었을 수 있겟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오존층이 중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과거에 사용했던 프레온 가스등으로 오존층이 많이 파괴되었지만, 그 이후에 사용을 제한하면서 오존층은 상당히 많이 회복되었다고 합니다. 인간이 영향을 주지만 않으면 자연스럽게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기후가 변한다는것은 어떤 특정지역에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기후가 변한다는 것은 주변환경이 모두 바뀌는 것이라서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서서히 변하는 경우에는 생물들이 조금씩 적응할 수 있겠지만, 급격한 기후변화라면 생태계 전체적으로 황폐화되는 결과가 있을수도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달이 엄청 크게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의 공전궤도는 타원형이기 때문에 지구와의 거리가 가까워졌다 멀어졌다 하기도 하고, 달의 모양 (보름달 등) 에 의해 크기가 달라보이거나, 지평선 근처나 하늘에 있을때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커 보일수 있을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최근들어서 과학계에서 멀티버스 즉 다중우주론이 화제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특별히 연구가 많이 된다기 보다는, 흥미롭고 재미있는 내용이라서 드라마나 영화등의 소재로 많이 활용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연구방법도 제한적이고, 연구가 많이 되는 것 같지는 않네요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