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거대한 가스형행성이 항성계에서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양계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물질들이 뭉쳐져서 행성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밀도가 높고 무거운 물질들이 태양근처에서 뭉쳐져서 암석형 행성들이 생성되고 바깥으로 갈수록 밀도가 적은 물질들이 뭉쳐져서 가스형 행성을 형성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은하가 향후 주변가까운 은하와 합쳐질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38억 년 후 안드로메다와 우리 은하는 충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충돌한다고 쾅 하고 부딪히는 개념은 아니고 별과별의 거리가 워낙 먹기 때문에 실제 충돌은 거의 없겠지만, 서로의 중력의 영향으로 다양한 변화가 생길 수 있겠습니다.결국, 약 56억 년 후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는 완전히 합쳐져서 거대한 타원 은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소은하와 구상성단이 무엇이며 왜 일반 은하보다 크기가 작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왜소은하는 말씀대로 작은 은하를 이야기하는데, 사실은 왜소은하가 우주에 가장 많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특별히 작다기 보다는, 그 정도 크기의 은하가 많이 있는데 어두워서 관찰이 어렵다고 봐야겠습니다. 구상성단은 구형의 항성의 모임(성단)으로, 은하중심 주위를 위성처럼 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 시골에가면 밤에 별들이 더 많이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별이 잘 보이려면 2가지 조건이 중요한데, 주변이 어두울 수록 상대적으로 별이 잘 보이게 됩니다(햇빛이 밝기 때문에 별이 안보이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또한 말씀대로 시골로 갈 수록 공기가 맑고 대기오염이 되지 않아서 별빛이 잘 보일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 허리케인은 빙글빙글 돌면서 움직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의 자전에 의한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서 허리케인이 회전하게 됩니다.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받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허리케인이 북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은하중심에는 초거대 블랙홀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거의 모든 은하의 중심부에는 일반적인 블랙홀과 비교도 안되게 거대한 블랙홀들이 존재한다고 합니다.이 블랙홀의 생성과정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서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인류가 다시 달에 가려고 하는 이유가 헬륨3를 가지고 오려고 한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헬륨-3 가 지구에는 거의 없고, 달표면에 많이 있으며 핵융합 발전칠영 박사입니다.헬륨-3 가 지구에는 거의 없고, 달표면에 많이 있으며 핵융합 발전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 하나의 이유일 수는 있지만,, 달탐사에 워낙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직접적인 이유는 아닐 거 같고,, 달 탐사를 하는 여러가지 이유중에 하나일 수 있겠다..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이 핵융합 반응을 멈추는 시기는 어떻게 계산을 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양의 밝기를 통해 에너지 방출량을 계산. 태양의 질량을 계산 (주변 행성과의 상호작용등으로 계산)전체 질량과 시간당 소모되는 에너지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수명을 계산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에서 제트를 분출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제트는 블랙홀이 주변의 강력한 자기장, 부착원반과 상호 작용하며 방출되는 것으로 추측되는 기체·액체의 빠른 흐름을 말합니다. 물질이 노즐 같은 구조를 통과해 밀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방출되며 생성됩니다. 제트가 생성되는 원리에 대해 현재 주류이론은 블랙홀이 빠르게 회전할 때 에너지가 발생하며 그 에너지의 일부분이 제트로 방출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이번 여름에 폭염이 오랜 기간 지속된 것은 어떤 이유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가장 간단하게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 지구전체의 온도가 상승된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됩니다.문제는 어쩌다 한번 더위가 찾아온 것이 아니라,, 이 정도 더위는 지속되고 앞으로는 더 뜨거워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한국은 그나마 주위에 바다가 있어서 덜하지만, 유럽등 훨씬 더 심각한 더위로 고통받는 나라들이 많고, 앞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서 큰 우려가 됩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