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사하라 사막에 호수가 생겼다고 하는데요. 얼마나 큰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24시간 동안 100mm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사하라 사막에 호수가 생겼다고 합니다. 50년만에 쏟아진 폭우라고 합니다,, 상당히 큰 물웅덩이가 생겼지만 최근 일어난 일이고 정확한 크기는 아직 알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비가 더 올지, 호수가 어떻게 유지될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화산이 폭발한 지역의 경우 기후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화산활동은 용암, 암석, 화산재와 먼지 그리고 가스를 방출시키고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대형 화산 폭발은 성층권에 이산화황 가스를 유입시켜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황산염 에어로졸을 만들어 내며,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반사시켜서, 지구에 입사되는 태양 복사량을 감소시킨다고 합니다.큰 화산 폭발은 태양빛을 가려서 기온을 떨어트릴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 수심이 낮아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전체 물의 총양은 정해져 있어서,, 수심이 내려가는 상황을 가정하기는 쉽지 않지만, 해양생태계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을 것 같네요. 하지만, 해수면이 높아져서 육지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에 비하면 바다 생태계에 대한 변화는 상대적으로 적을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한 망원경은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양 그 자체는 진짜 렌즈나 거울도 아니지만, 태양의 거대한 질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시공간의 왜곡 현상을 이용해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태양을 스쳐 지나가는 빛이 구부러지면 마치 볼록렌즈를 통과한 것처럼 초점을 맞추게 되는 이 현상은 ‘중력렌즈 효과’라고 불립니다. 태양이 만드는 중력렌즈를 사용해 심우주를 관측하는 기술을 ‘태양중력렌즈(SGL)’라고 부른다고 합니다.다만, 초점을 맞추려면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의 550배에 해당하는 약 820억km 를 날아간 곳에서 관측을 해야한다고 하니, 실현되려면 여러 장해물이 남아있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