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우주에 초신성이라는게 있는것 같은데요 초신성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질량이 일정 수준 이상의 별이 수명을 다하면 큰 폭발을 일으키는데, 엄청나게 밝은 빛을 내기 때문에 갑자기 밝아지는 현상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수 주 또는 수 개월에 걸쳐 태양이 평생 발산할 정도의 에너지를 방출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인류가 화성에 정착하려면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화성에 정착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대기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상태로 바꾸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화성까지 가는데 6개월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여러 기반시설을 보내는 것도 만만치 않겠습니다.대기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정도로 바꾸고 좁은 지역부터 조금씩 생명체가 정착하는 방식이 되어야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계란은 왜 열을 가하면 고체화 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단백질은 일정 수준이상의 온도에 노출되면 구조적으로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계란뿐만 아니라, 고기를 굽는등 단백질이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구조적 변화가 생기는 경우는 흔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요곡분지와 단층분지는 무엇이 다른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요곡운동이란, 일반적으로 단층이나 습곡을 동반하지는 않지만 지각의 휘어짐으로 인해 지반의 융기나 침강을 가져오는 현상이라고 합니다.단층이 생기는 정도의 운동인지, 아닌지에 따라 구별이 되는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우주에서는 시간이 지구와 다르게 흐른다고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에서, 라기 보다는 강한 중력의 근처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고 합니다. 지구 주변의 인공위성에서도 아주 약간이지만 시간이 느리게 흐린다고 하네요.블랙홀 근처같이 중력이 매우 강한 곳에서는 아주 잠깐 시간이 바깥의 몇년과 비슷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우주는 정말 끝이 있을까요, 아니면 무한히 계속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의 끝은 사실 알기가 어렵습니다, 우주는 현재도 빠른속도로 팽창하고 있으며, 그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는 인간의 능력으로는 절대 알아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또 다른 행성은 존재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에 지구와 비슷한 환경은 매우매우 많다고 봐야겠습니다, 어딘가에는 생명이 존재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하는게 일반적입니다.태양계 외의 행성으로는 이동이 매우매우 어렵기 때문에, 있다고 하더라도 인류가 이동하기는 쉽지 않긴 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블랙홀은 왜 블랙이라는 이름을 갖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블랙홀은 중력이 워낙 강해서 빛도 탈출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건의 지평선 안쪽은 관측이 불가능합니다. 모든 것을 빨아들이기 때문에 블랙홀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높은 위치에서 떨어지는 물의 온도는 위와 아래가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폭포수의 온도가 위와 아래가 차이가 있느냐는 질문인가요? 떨어지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폭포수의 온도가 크게 차이가 날 것 같지는 않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2일 작성 됨
Q.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는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가 '구'라는 가정으로 정오에 막대의 그림자가 없는 위치와, 그림자가 생기는 위치의 거리를 측정하여 비례의 원리로 지구의 둘레를 계산했다고 합니다.
76
77
78
79
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