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토성의 고리는 누가 처음 관찰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그 유명한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에 망원경을 이용하여 최초로 토성의 고리를 관측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망원경의 성능이 좋지 않아, 정확하게 고리인지 무엇인지 파악하지는 못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는 어떤 원리로 표면 온도의 변화가 있던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유로파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지는 않아서 아직도 추측의 영역이 많다고 합니다. 녹았다 얼었다 하는 것은 태양빛을 받고 안받고의 차이가 커서 가능할 것 같네요,, 균열부위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고는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우리생활중 공기에서 산소의 농도는 몇프로 인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공기는 산소 21%, 질소 78% 이산화탄소 0.04% 정도 그 외에 기타 여러 성분들로 이뤄져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우주 탐사의 가장 큰 목표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모두가 동의하는 하나의 우주탐사 목표는 정해져 있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화성등으로 이주하는 목표, 외계생명체를 찾는 목표, 숨겨진 우주의 원리와 물질들에 대한 탐구등 다양한 목표들이 존재할 것 같네요.미스테리를 파헤치는 알고 싶은 욕망과, 인류의 이주를 위한 실용적인 목표등으로 나눠질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금성의 표면에 최초로 착륙한 탐사선은 우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최초의 금성 착륙선이라 할 베네라 7호는 1970년 뜨거운 금성 표면에서 127분을 버티면서 23분 동안 지구로 데이터를 전송했다고 합니다. 다른 분야에서는 미국이 앞서지만, 금성탐사는 러시아에서 성공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수성보다 금성이 더 뜨거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금성은 지구의 90배에 달하는 높은 대기압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상당수가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온실효과가 잘 나타난다고 합니다.즉, 태양의 에너지를 흡수해서 온실효과가 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진다고 생각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태양계에서 태양이 차지하는 질량의 비율은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양계 전체의 질량중 태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99.85% 정도 된다고 합니다.행성의 질량은 0.135% 를 차지하게 되고 나머지는 여러가지 기타 천체들이 채운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국제천문연맹에서 정한 행성의 조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첫째.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둘째 충분한 질량과 중력을 가지고 구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셋째 그 지역의 가장 지배적인 천체여야 한다.이런 조건에 부합하지 못해 명왕성은 행성의 지위를 잃게 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성운이라는 건 무엇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성운은 성간물질이라고 불리는 가스들이 중력에 의해서 수축되면서 생성된다고 합니다.이런 성간물질 (분자구름들) 이 여러 이유로 수축하면서 다양한 천체들을 형성하는 재료가 된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천체간의 거리른 뵤현할 때 자주 보이는 AU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1AU 는 지구와 태양간의 거리를 의미하며 약 1억5000만 km 정도라고 합니다. km 의 단위로 쓰면 우주에서는 너무나 멀고, 1광년은 너무 긴 거리라서 중간정도의 거리를 표현하기 위해 설정한 단위같네요
76
77
78
79
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