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대출
2024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은행에서 전세 대출 중인데, 신혼부부 버팀목으로 대환대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연봉 5천이시면 대환대출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기본적으로 연소득이 낮은 사람들에 대하여 대환대출 승인해 주는데 연봉 4,500까지 맥스이며 그것도 신용도에 따라 달리 차등적용되기 때문에 대환대출금액이 낮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경제용어
2024년 12월 29일 작성 됨
Q.
환율이 급격하게 오르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소비자 물가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지금 경제상황에선 환율은 결국 물가를 높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지금 현재 수출부진으로 수입가가 높아지게 되면 결국 수입하는 품목들의 대부분이 높은 가격으로 들어올 수 밖에 없는데 이것이 생산자물가 즉 ppi 증가로 가게되며 결국 소비자 물가로 전가 되게 됩니다.지금 현재보다 전체 물가는 내려갔다고 하지만 여전히 물가는 경제성장력 대비 높아지고 있으며 체감물가는 계속해서 오를 것입니다.
자산관리
2024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교육비는 한 달에 얼마나 쓰는 것이 좋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교육비라는 것이 수입의 몇프로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좋은 것도 아니며 욕심은 끝이 없게 됩니다.이것은 굉장히 상대적이며 무조건적으로 몇%을 써야된다는 강박을 심어 줄 수 있는데요.교육비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현재 나이에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내 수준에 맞게 정하시는 게 좋은데개인적으로 예체능 쪽이 아니시라면 일반적으로 운동쪽, 속셈학원 정도로 생각하신다면 보통 10% 미만으로 잡으시는 것을 권유드리며그 이상으로 잡기 보다 차라리 금융 쪽으로 주식을 모아서 애들이 컸을 때 주는게 낫다고 보여집니다.
예금·적금
2024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가장 예금과 적금금리가 높았던 시기와 기간은 언제이며 어느정도 기간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의 경우 80년대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당시엔 15%도 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그러다 점차 줄어들어 2000년도부터는 5%정도대로 들어오게 되었으며 2010년부터는 점차 내려와 1~2%로 진행되다가 올라갔습니다.당시에 15%였던 것은 개발도상국시절에 엄청난 외화벌이를 시작하면서 기점은 88년 올림픽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29일 작성 됨
Q.
기업에서 자사주를 취득하는 것은 호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자사주 취득 시는 호재라고 보기엔 애매합니다.소각까지 이루어져야 유통량 감소로 주식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인데요.보통은 자사주 취득 후 소각까지 가긴하지만 취득보다 소각을 적게하는 경우도 있고오랜 시간 천천히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기업가치 대비 너무 하락한 경우에는 호재로 반영되지만이미 조금 망한 기업의 경우는 크게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