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재활의학과 전문의, 근골격계, 근전도,뇌졸중, 법원의료감정
재활의학과 전문의, 근골격계, 근전도,뇌졸중, 법원의료감정
남희성 전문가
대학병원 재활의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안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안검염인지 모르겠어요 눈이안떠져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눈이 감기는 이유가 눈에 불편감이 있어서 그런거면 지금과 같은 안과진료를 계속 받아보시는기 맞겠고 정말 눈꺼풀에 힘이 없어서 눈이 감기는거라면, 특히 낮보다 밤에 증상이 심해진다면 중증 근무력증같은 질환을 의심하고 신경과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비뇨의학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자고 일어났을 때 발기가 돼있는 경우는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수면시 REM 수면 단계에서는 뇌의 활동이 증가하고 신경 전달물질(특히 노르에피네프린)이 억제되면서 발기 억제 신호가 줄어드는게 주요 기전입니다.건강한 남성이라면 밤에 3~5회 정도 발기가 일어나며, 마지막 REM 수면 단계가 새벽이나 아침에 몰려 있어 일어날 때 발기가 되어있는 경우가 많은겁니다.
피부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여드름 치료에 경구 항생제 투여가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여드름이 생기는 주요 기전은 아래 그림에 보시는것고 같이 피지샘에 피지가 과분비되고 고여있는 피지에 세균이 증식하면서 여드름이 악화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농성 여드름에서 항생제가 매우 중요한 치료가 되겠습니다. 일시적인 억제가 아니라 세균이 증식하고 염증을 악화시키는걸 막아주는 중요한 치료입니다. 이 염증으로 인해서 피부 조직이 손상되기 때문이죠.
비뇨의학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남자의 성기는 차가운게 좋다고 하는데 왜 여성들과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고환에서 정자를 만들때 몸보다 약 2~3°C 낮은 34~35°C가 가장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고환이 복강안에 위치해있지 않고 몸 밖으로 나와서 위치해있는겁니다. 그런데, 차갑게 할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오히려 차갑게 하는건 좋지 않고 이상적인 위 온도를 맞춰주는게 적절하겠습니다.
이비인후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6개월에 한번 이비인후과 가서 귀파는거 보험되나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정확한건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알것같은데 진료비는 급여 처리가 가능하겠고 이경으로 귀 안을관찰하는걸 급여로 처방하냐, 비급여로 처방하느냐가 생각에 따라서 다를것 같은데 본래는 질병에 대한게 아니니까 비급여로 넣는게 맞겠지만 귀지 때문에 불편감이 있어서 제거하는거라면 또 급여로 처방할 수도 있는거라서 어지간하면 아마도 급여로 처방을 해주시지 않을까 예상이 됩니다. 귀에 특별한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면 사실 귀에 불편감이 없다면 6개월 후에도 굳이 이비인후과에서 귀지를 제거할 필요가 없습니다. 저는 귀지를 파지 않은지 20년이 넘은것 같습니다. 귀지는 파지 않아도 저절로 배출됩니다.
131
132
133
134
1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