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전공과목 외에는 가물가물 하네요 ^^;

전공과목 외에는 가물가물 하네요 ^^;

임종한 전문가
통영병원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이제는 코로나도 일반 몸살감기 정도로 치부해도 되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특별한 기저질환이 없고, 나이가 많지 않은 (혹은 어리지 않은) 사람에게는크게 걱정하실 것이 없다고 생각됩니다만..-> 그래도 간혹 합병증으로 폐렴등으로 진행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노약자분들) 초기에는 면역력을 가진 사람이 없어서, 증상도 심하고, 전염력도 높아서 문제였지만이제는 그 정도는 아닐 듯 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이비인후과] 코막힘은 건조한 환경과 연관이 있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코막힘은 크게 콧물 등으로 코안이 막힌 경우와비갑개 등의 혈관 부종으로 공간이 좁아지는 경우가 있을 듯 합니다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면, 아무래도 콧물이 배출되기 편하고코안에 자극도 감소해서 일정부분 도움이 될 듯 하네요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목욕으로인한 피부는 회복을 할 수있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목욕 자체가 좋다기 보다는, 따듯한 물에서 긴장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은 도움이 될 듯 합니다 무리하지 않는 범위라면 횟수는 큰 문제 없을 듯 하고요 (어지러움 등, 목욕후 붎편감이 없다면)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이석증에도 약간의 먹먹함은 있을 수 있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 개인적인 생각으론1. 먹먹함은 있을 수 있을 듯 합니다.2. 림프액에 녹지는 않고, 우연히 이석이 올바른 위치?로 이동하면서 호전되게 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독감이 B형, B형이 연속으로 올 수 있나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독감B형도 유전자형이 여러가지라서...재감염 가능성은 있습니다-> 혹은 잔존 감염 가능성도 있고요.
내과
내과 이미지
Q.  검은색변 검은색똥 대변색깔 이상함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위장관 출혈이 있을 때 검은색 변이 나오기 때문에 , 병원 방문을 권유드리긴 합니다만그 외에도 철분제 복용, 선지국 등의 식사 관련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긴 합니다그러니 너무 안 좋은 생각만 하지는 마시고우선 병원 방문 빈혈 수치 등의 검사라도 진행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6081101289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34.8도면 저체온증인가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일반적인 환경에서 (체온 유지가 가능한) ,저체온증은 경험해 본적이 없 긴 합니다.-> 보통은 다른 임상증상(갑상선 기능저하, 과도한 출혈 , 폐혈증 등)이 동반된 저체온증은 있을 수 있지만요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309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처방약 중단 후 수면제 먹어도 되나요?
대면 진단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얼굴의 부종과 호흡곤란의 원인이 무었인지가 걱정이네요내과적인 원인이라면, 수면제로 복용이 혹시라도 문제가 될 수 있어서요.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양극성장애는 어떤 증상이 나타나고 어떻게 치료하는건가요?
대면진단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양극성장애는 평소에는 잘 지내다가 특정 시기에는 조증 증상 (조증 삽화) 혹은 우울증 증상이 (우울 삽화)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외 여러 타입이 있기는 합니다만.. 크게 보면 그렇습니다 보통은 약물 치료가 우선시 되며, 조증/우울증 기간동안 사고?예방을 위해 입원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재발 예방의 핵심은 투약을 꾸준히 +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 + 일정한 생활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일 듯 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췌장염 검사는 내과에 가서 무슨 검사를 받아야 하는 건가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췌장염이 의심된다면, 보통 복부초음파나 CT 등의 방사선 검사와 췌장효소 (아밀라제/라이파제 등) 및 일반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듯 합니다 -> 물론 임상증상 (복통 등) 양상도 확인할 듯 하고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58
4464474484494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