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2월 23일 작성 됨
Q.
구글 주식은 요즘도 괜찮은 주식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10개년 주식 추이를 보면 단기 등락은 있으나 추세 사체는 우상향입니다. 검색 엔진에 있어서 글로벌 거의 독점 업체에 가깝고 AI 등에 있어서도 압도적인 맨파워와 자본력을 바탕으로 챗GPT에 필적하거나 유력한 회사를 인수하여 경재력을 빠르게 확보할 것이라 판단됩니다. 중장기 관점에서 분할매수는 유효할 듯합니다.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직장인 4년차이며 39세미만 청년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청년주택 대출이 국가 지원 대출 지원제라 더 유리할 수 있을 듯합니다. 일반 직장인 대출은 질문자님과 다른 잠재적 대출 수요자와 동일 선상에서 한도와 이자율을 책정하게 됩니다. 자격이 되신다면 청년버팀목전세대출 등의 조건을 보면 연리 2%까지 가능합니다. https://www.banksalad.com/articles/%EC%B2%AD%EB%85%84%EB%B2%84%ED%8C%80%EB%AA%A9%EC%A0%84%EC%84%B8%EB%8C%80%EC%B6%9C-%EC%A1%B0%EA%B1%B4-%EC%84%9C%EB%A5%98-%EA%B8%88%EB%A6%AC
2025년 2월 20일 작성 됨
Q.
은행에 돈을 넣어두면 이자를 주는 나라가 또 어디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이자 대신 계좌 운영비를 오히려 청구하는 국가로 대표적인 나라는 일본입니다. 이는 금리 수준과 연관이 되어 있는데 일본은 지난 십수년 간 제로금리를 유지했습니다. 기준 금리가 제로이니 사금융에서 개인에게 왠만한 금액 이상을 예치하지 않고서는 이자를 줄 이유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계좌 운영비를 받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고 금리가 3~4% 이상만 되어도 소액이라도 이자를 주는 게 정상이긴 합니다. 즉, 거의 모든 국가에서는 은행에 소액이든 거액이든 예치하게 되면 소정의 이자를 지급합니다.
2025년 2월 20일 작성 됨
Q.
은행에 돈을 넣어두면 보관비용을 받는 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대표적인 국가가 스위스입니다. 스위스의 경우 전통적인 중립국이고 1, 2차 세계 대전에서도 전쟁의 포화에서 자유로웠습니다. 이러한 스위스는 금융 중심 국가가 되었고 많은 글로벌 부자들이 스위스에 비밀 계좌를 운영했고 상당 부분 보관 비용을 더 지불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주요 은행들이 계좌 운영 비용을 받는 경우도 있기는 하나 경쟁이 치열한 한국의 은행업에서는 아직까지는 계좌 보관 비용을 별도로 받지는 않고 금이라 물리적인 실체가 있는 귀금속이나 귀중품을 보관하는 물리적인 금고는 별도 보관 비용을 받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20일 작성 됨
Q.
패시브 자금과 액티브 자금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여기서 패시브(passive)는 수동적이라는 의미입니다. 투자자 개인이 투자 의사결정에 적극 개입하지 않고 운영사나 운영자에 투자 의사결정을 상당 부분 맡기는 경우 패시브 투자라고 할 수 있고 당연히 액티브(active)는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투자 의사결정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소득(income)의 종류에도 passive & active라는 용어를 씁니다. 투자금에 대한 배당이나 이자 소득은 일종의 passive income이고 주식이나 채권의 단기 매매를 통해서 얻게 되는 소득은 active income이라고 합니다. 결국 passive와 active의 차이는 주도성의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