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대출을 본인의 연봉보다 많이 받으면 신용점수가 많이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그렇습니다. 신용점수 결정 요인은 매우 다양하고 NICE와 KCB의 평가 기준이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 특히나 소득 대비 대출을 많이 받을 경우 KCB 점수에 불리하며 1금융권 대출 심사는 대부분 KCB 점수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대출 건수와 2금융권 고이자율 대출 실행 여부, 신용카드 장단기 대출 여부 등도 점수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소득 대비 대출 금액이 클 수는 있으나 대출 건수를 줄이고 가급적 1금융권 저리의 대출로 구색을 맞추는 게 신용점수에 유리합니다. 가급적 신용카드 장단기 고이자율의 대출은 사용하지 마시고 사용 하시더라도 빠른 시일 내로 상황을 하시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여러 개의 신용카드의 한도를 80% 이상 꽉 채워 사용하시게 되면 이 또한 신용점수에 부정적이니 가급적 60% 미만 한도 사용을 권합니다.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신용카드 단기대출 한달 연체로 인해서 카드 사용정지가 걸렸다면, 납입 후에 바로 정지가 풀리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연체를 하게 되면 해당 연체금을 납부 하더라도 한도와 거래 재개 등 원상복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카드사에 직접 문의 하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디플레이션은 어떤걸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디플레이션(deflation)'은 재화와 서비스 가격이 하락하는 '물가 하락'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장하는 경제는 경제 규모와 국가마다 다르나 일정 부분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물가하락을 의미하는 디플레이션이 좋은 것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디플레이션 발생하는 경제는 대부분 불경기 하에 있고 주식이나 부동산 등 자산 가격 하락을 겪게 됩니다. 일본이 2000년대 초반부터 겪었던 잃어버린 20년은 대표적인 자산 가격 하락을 동반한 디플레이션 경제였습니다. 익히 아시겠지만 당시 일본 정부는 현금성 소비 쿠폰을 전국민에 살포 해도 국민들이 장롱에 저축할 정도로 경제가 경색된 바가 있습니다. 물론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닥치는 스테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경제 운영 당국 입장에서는 재앙에 가깝지만 본격적인 디플레이션도 못지 않게 경제에 큰 내상을 입히게 됩니다. 한국 경제를 예로 들자면 연2% 내외의 물가 상승을 감내하며 성장하는 모델이 가장 이상적이라 판단됩니다.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2월달에는 주식시장이 약한 편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특정 시기별 주식 시장이 약하다는 것은 속설에 불과합니다. 2월 뿐 아니라 12월에도 윈도우 드레싱, 내년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한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글로벌 불확실성이 크게 커졌는데 주가 예측이 매우 힘든 상황이고 트럼프 2기의 관세 전쟁은 일종의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즌별 주가 예측은 무의미합니다.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증권사 계좌를 자유 입출금계좌로 써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증권계좌를 입출금 계좌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문제는 수수료입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은행이나 시중 은행의 어플을 이용할 경우 입출금 수수료가 무료인데 증권계좌 입출금 수수료는 무료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이점을 고려 하셔서 주된 입출금 계좌로 증권계좌를 사용하실 지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입출금 한도는 다를 수 있습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