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Q.  주식과 채권의 차이는무엇인지 궁긍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은 익히 아시는 바 대로 주식회사가 자본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주권이며 상장사의 경우 시장에서 주식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보유한 주주는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 차익 뿐 아니라 배당 수익도 눌릴 수 있습니다. 채권은 쉽게 설명을 드리자면 이자부 채무 증서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채권은 발행 금액에 이자를 분기, 반기 또는 연간으로 지급하게 되는데 채권 발행 주체는 주로 기업, 공기업 & 지자체 및 중앙정부 등 다양합니다. 사기업이 발행한 채권을 사채(corpoarte bond)라고 하고 국가나 지자체가 발행한 채권을 국공채(government bond)라고 합니다. 채권은 만기를 가지고 있으며 만기까지 보유한 채권 투자자는 원금을 받게 됩니다. 주식은 가치가 높을 수록 가격이 올라가고 채권은 가치가 높을 수록 실질 이자율이 내려가게 됩니다. 쉽게 말씀 드려 위험의 크기가 큰 회사나 지자체가 발행한 채권의 금리는 안전한 기업과 지자체 보다 높게 책정해서 발행하게 됩니다.
Q.  미국의 연준에서 금리를 올리고 내리면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의 금리는 미국 뿐 아니라 글로벌 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한국은행도 미연준의 금리 결정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 결정 또한 주식 시장에 영향을 당연히 끼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낮은 금리는 주식 시장에 긍정적입니다. 시중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주식 등 금융시장의 영향력은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 보다는 미연준의 금리 결정이 훨씬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미국의 기준 금리가 4.5%이고 한국의 기준 금리가 3%입니다. 1.5%의 금리차가 나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금리를 내리기는 힘든 상황입니다.
Q.  자원의 저주는 어떤 이유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원유 등 천연자원이 풍족한 국가들이 오히려 빈곤하거나 독재자의 출현으로 해당 국가 국민들이 빈곤하고 여러 고통을 당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대표적인 국가가 카다피 독재자로 유명한 리비아입니다. 나이지리아, 알제리에 이어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석유 매장량을 기록하고 있으나 독재자 출현으로 정치적 혼란과 내전 등이 이어지면 북아프리카 대표적 빈국으로 전락했습니다. 또한 남미의 베네수엘라 역시 세계 6위의 석유 생산량에 매장량은 1위입니다. 그러나 1998년 차베스 대통령이 당선되며 포퓰리즘의 덫에 걸려 국가 경제가 나락으로 떨어졌습니다. 대표적인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겪으며 서민 경제가 붕괴 되었습니다.
Q.  한국에서도 법인 가상 자산 투자가 가능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아래 기사를 보시면 올해부터 법인도 가상자산 투자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일반 법인 외에도 블록체인과 투자 목적으로 상장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를 허용했습니다. 금융당국은 법인의 투자 목적, 현금성 자산 축적을 위한 법인의 가상자산 전용 계좌 개설을 허용했습니다. 해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최근까지 법인의 가상 자산 투자가 금지 되었는데 이 부분이 개정되면서 투자자 저변이 넓어져서 가상자산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듯합니다.
Q.  중도상환을 자주하게되면 신용도가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대출을 상환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신용점수가 상승하게 됩니다. 물론 해당 대출로 인해 신용점수가 하락했다면 해당 대출의 중도상환은 분명 신용점수 상승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