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비트코인의 가격이 내리고 오르는 원리?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주식과 같이 사자와 팔자가 만나는 지점에서 가격이 형성됩니다. 물론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내재가치는 없다는 게 다수설이기는 합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을 영국, 러시아, 엘살바도르 등 주요국들이 금과 같이 전략자산으로 비축하기 시작했고 작년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ETF의 기초자산이 되어 공식적으로 금융 제도권으로 진입했습니다. 올해는 리플, 솔라나 등이 ETF 기초자산으로 진입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자산성은 사회적 합의에 의합니다. 금이 귀금속이자 안전자산으로 유사 이래 대접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비트코인은 어느정도까지 오를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비트코인은 길게 보았을 때 상승 추세로 보입니다. 2020년경부터 본격 상승했고 2022년 중반에서 2023년 중반까지 크립토 겨울로 장시간 하락 후 2023년 3분기부터 현재까지 급격한 상승 추세입니다. 트럼프 2기 출범이 확정된 작년 하반기부터는 특히, 상승세가 가파랐습니다. 잠시 관세 전쟁 등의 불확실성으로 주식 시장과 같이 다소 주춤하나 길게 보면 상승을 위한 손바뀜과 에너지 축적 과정이라 판단됩니다. 아마도 올해는 상승세가 그다지 크지 않을 것 같으나 올해 하반기부터 재차 상승 추세로 전에 보지 못했던 가격에 이를 것이라 예상됩니다.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가상화폐가 그동안의 가격 조정을 끝내고 상승세로 돌아설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아래 비트코인 3개월 가격 차트를 보시면 지난 1월 경 정점을 찍고 하락 추세이며 최근에 다시 상승 반전했습니다. 기술적 반등일 가능성이 크고 좀 더 추세를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가상화폐의 경우 극도로 변동성이 심한 위험자산입니다. 시중에 충분한 유동성과 낮은 금리 양호한 경제 전망 등이 바쳐줘야 지속적인 상승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2기의 관세정책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혼란이 잦아들어야 명확한 방향성을 알 수 있을 듯합니다.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스캠이다라고 생각했던 파이코인이 실제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시간으로 오는 2월 20일(목) 오후 5시에 메인넷 오픈과 동시에 OKX, BYBIT, HTX, MEXC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이 됩니다. 상기 거래소의 경우 3~7위권에 위치 해 있는 메이저 글로벌 거래소들입니다.특히, HTX(舊후오비)의 경우 파이코인 IOU(채권증서) 거래를 중단하고 보유자에게 USDT로 정산 후 공식 상장 공지를 내었습니다. https://beincrypto.com/pi-network-momentum-exchange-listings/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주식 가치투자란 뭔가요? 초보자가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아흔 살을 훌쩍 넘긴 워런 버핏은 장기 가치 투자의 구루(guru)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배나 자본금의 규모와 성격, 투자 성향 등에 따라 투자 수익율의 기간과 기대 수익은 양상이 매우 다릅니다.90살 넘게까지 가치 투자를 할 생각으로 20대나 30대 초반을 사는 초기 투자자라면 워런 버핏을 따라하거나 벤치마킹 하면 됩니다.그러나 그 이상의 연배고 기대수익률이 다소 높은 투자가라면 다른 방식으로 투자를 해야 할 듯합니다.주식 투자를 예로 들자면 개인 투자가들은 정보력과 시장 변동성에 매우 취약합니다. 주식 초보시라면 버려도 되는 작은 자본금으로 시작하시고 산업 내 1~2등 주식 위주로 분할 매수 하시기를 바랍니다. 차티스트 등 단기 투자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삶의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국내 주식 뿐 아니라 글로벌 정세와 역학에 대해서 점진적으로 알 수 있는 미국 주식 투자도 추천 드립니다.모르는 용어와 개념은 포털 등에서 찾아서 메모 해 두시고 유투브 내 유력한 경제 채널(3프로 등)을 구독해서 꾸준히 국내외 경제의 흐름과 관련 용어 및 이론 등을 섬렵할 필요도 있습니다. 주식 공부는 경제 공부와 거의 같습니다. 2~3년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빚투나 부담스러운 금액의 몰빵 및 유투브나 SNS에서 추천하는 종목 등은 일체 눈길을 주시 마시기 바랍니다.
191
192
193
194
1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