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가 언제부터 이렇게 나약해졌나요 남들 다 하는 딥 싱크인가 뭔가 하는 거 도움 만들고 우리나라 젊은 인재들 지금 다 뭐 하고 있냐는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딥시크(deepseek)는 중국 토종 AI 챗봇으로 저가형 GPU와 관련 기자재로 챗GPT와 구글 챗봇 이상의 성과를 내서 시장의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AI 산업이 하이테크 산업으로 특히, 최고 수준의 AI 챗봇은 엄청난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 일종의 선입견이 되었고 중국의 가성비 앞에 단번에 무릎을 꿇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관련 산업과 기술력이 다소 부족하고 투자도 미국이나 중국에 비해 작은 것은 사실입니다. 내수 시장도 미국과 중국에 비해 비할바 없이 작습니다. 결국 선택과 집중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중국 딥시크 충격은 하이테크 산업 전반에 일종의 mile stone 또는 game changer 역할을 할 듯합니다. 미국 쌓아 놓은 진입장벽이 큰 틈이 생긴 것이니 조금 더 분발해서 선택과 집중을 잘하게 되면 한국이 누린 과거 조선, 반도체, 평판디스플레이, 철강, 화학 등의 분야에서 누린 영광을 다시 찾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대한민국은 그래야 발전하고 현재 이상의 소득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생존의 영역이라 길을 찾을 것입니다.
Q. 인도 주식 시장, 장기 투자에 적합할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인도 경제가 과거와 달리 주변 스리랑카,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와는 비교 대상이 아닐 정도로 급성장 하고 있는 것은 맞습니다. 또한, 세계 어디든 인도계 사업가와 경영자들이 엄청나게 많이 퍼져서 인도 경제를 떠 받치고 있기도 합니다. 십 수년 전 아프리카 장기 출장을 간 적이 있었는데 현지 사업가와 경영진이 거의 인도계 현지인이거나 인도인들이었습니다. 물론 이머징 마켓의 특성 상 불확실성이 크긴 합니다. 통화 가치 변동성도 커서 이 부분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인도 경제가 중국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고 미중 무역 전쟁이 단기간 내에 끝나지 않을 것이라 인도에 대한 세계 경제의 의존도는 점증할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산업과 사업의 주식에 투자할 것인지가 관건이겠으나 인도 경제 저체는 장기적으로 전망이 좋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