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2월 18일 작성 됨
Q.
재무제표에서 영업이익보다 순이익이 높은 경우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손익계산서는 통상 '매출/매출원가/매출총이익/판관비/영업이익/영업외 손익/순이익'으로 구성됩니다. 영업이익 보다 순이익이 더 큰 이유는 영업외 손익에서 나옵니다. 가령, 환율에 따른 이익이나 연결대상이 아닌 피투자 회사의 지분 평가 이익 등이 발생하게 되면 순이익이 더 클 수 있습니다.
2024년 12월 18일 작성 됨
Q.
파생상품이란 무엇이고 왜 사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원래 파생상품(derivative)이 생겨난 이유는 기초 자산이 되는 재화의 가격 변동을 헷징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러나 헷징 보다는 파생상품의 가격 변동에 베팅하는 투기적 수요가 점점 커지게 되었고 현재는 주식이나 원자재 등의 현물 시장보다 파생상품 시장이 수십배 더 커졌습니다.파생상품 투자가 매우 위험한 이유는 레버러지(leverage) 효과 때문입니다. 파생상품은 주로 기초자산 자체를 거래하기 보다는 해당 기초자산을 특정 가격에 사고 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것입니다. 원금의 많게는 수백배까지 투자가 가능한 구조라 자치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커지고 상승 또는 하락의 방향을 잘못 설정하게 되면 큰 손실을 보게 됩니다.주식이야 크게 하락해도 팔지 않고 보유하면서 버티면 되지만 파생상품은 기초자산 변동성에 따라 원금을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이를 마진콜, margin call) 경우가 발생하고 당일 또는 다음 거래일 이전에 투입하는 부담이 있습니다.예전에 2007~2008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 국내 키코 사태 등도 모두 파생상품에서 비롯된 금융위기 및 투자자 손실이었습니다.
2024년 12월 18일 작성 됨
Q.
달러 환율은 앞으로도 계속 더 높아질까요? 아님 떨어질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미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내려갈 요인을 사실 찾기가 힘듭니다. 트럼프 2기 정부의 더 강력한 자국 우선주의로 미달러는 더욱 강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이고 금과 함께 안전자산 취급을 받고 있어 주요 글로벌 이슈가 해결 국면에 접어들지 않는 한 미달러는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2024년 12월 18일 작성 됨
Q.
Mexc 거래소 에서 bybit 으로 테더 전송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유효한 지갑이 있으면 거래소 이슈는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Mexc 거래소가 미등록 거래소더라도 유효한 지갑을 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다면 타거래소 이전에는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다만, 이체 시 수수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듯합니다.
2024년 12월 18일 작성 됨
Q.
소비지국 과세원칙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소득의 원천을 어디로 두느냐의 문제입니다. 생산지국이냐 소비지국이냐는 부가가치세액이 크게 달라지는데 생산지국의 경우 생산원가, 소비지국의 경우 리테일 가격에 부가가치가 매겨지게 됩니다.비슷한 사례로 속인주의, 속지주의가 있습니다. 속인주의는 과세 대상 개인의 국적에 따른 것이고 속지주의는 소득을 얻는 지역의 과세당국에 세금을 납부하는 것입니다.
351
352
353
354
3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