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미국이나 한국에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선 미국의 지난 2년 간 유례 없는 속도의 금리 인상은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함이고 어느 정도 관리 범위 내로 들어 온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는 물가상승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닥치는 스테그플레이션을 막기 위함입니다. 현재 미국, 한국 등 주요국은 약한 정도의 스테그플레이션 와중에 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 초반 같은 에너지 파동발 같은 깊고 빠른 스테그플레이션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동향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요즘 콘텐츠산업은 잘 나가는 편인가요? 갑자기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10년 사이 한국 콘텐츠 산업은 양과 질 측면에서 급성장했습니다. 특히, 콘텐츠 제작 환경과 자본이 크지 않은 한국 콘텐츠 업계는 풍부한 아이디어와 스토리 텔링 약량이 넷플릭스 같은 글로벌 OTT를 만나면서 한 단계 레벨 업이 되었습니다. 이 추세는 계속될 듯합니다. 성공한 분야에는 인재와 자본이 몰려 선순환화 되고 한국 콘텐츠 산업이 지금 선순환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계속 발전할 듯합니다.
경제동향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원화 강세나 원화 약세는 어떤 요인들에 의해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원화의 경우 기축통화가 아니어서 수급, 한국 경제의 견실도, 대외 리스크 등에 따라 환율이 바뀌게 됩니다. 가장 근본적으로는 한국 경제가 얼마나 강하냐에 따라 원화가치가 결정되고 외부 리스크로는 북한의 도발이 잦고 도발의 강도가 커지면 역시 원화는 약세를 띌 수 있습니다. 당연히 금리 인하 등으로 달러가 약세면 상대적으로 원화는 강세로 전환 될 수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현재 한국의 1인당 GDP는 2017년 3만달러 돌파후 어떤 추세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023년 기준 한국의 1인당 GDP는 약3만 4천불 수준입니다. 2017년 대비 5년 간 약4천불 오른 것인데 약13% 상승한 셈입니다.
경제정책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이 늘어나면 국가재정에 큰 부담이 되는 등 국가경제에 관련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타 면제 등이 국가재정 부담과 직결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다분히 사업성을 제대로 검토했느냐의 여부인데 물론 예타 면제 사업의 사업성이 나쁘고 결국 재정 낭비로 이어지면 부담이 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예타를 거친 사업 중에도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경우가 허다합니다.
821
822
823
824
8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