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는 지금 경제적으로 증진되어가고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 경제의 개선 여부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봐야 합니다. 경제 규모 자체는 성장률 지표를 보면 되고 인당 GDP 등은 개인 구매력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경제 규모가 커지고 인당 GDP가 커져도 빈부격차가 심할 경우 소수만 풍요로운 삶을 살고 다수는 빈곤 상태에서 소수의 부유층을 위해 의생하는 경제구조가 될 수도 있습니다.엥겔지수 또는 지니계수 같은 빈부격차를 나타내는 지표를 추가로 살펴 봐야 합니다. OECD 평균 지니계수는 0.3 정도이고 한국은 2020년 기준 0.331입니다.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 수록 소득이 골고루 분배 되고 있다고 표시합니다. 참고로 미국, 독일, 덴마크, 일본 등 최선진국 지니계수는 0.3 미만입니다.
Q. 물가를 잡는 목적으로 금리인상이 최선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 인상은 경기를 일정 부분 냉각시켜 수요를 억제시키는 방법으로 물가 상승을 제어하는 기능을 합니다. 각국이 처한 경제 상황, 무역 현황, 경제구조 등에 따라 금리인상이 물가에 끼치는 영향은 다릅니다.그러나 일반적인 수요 억제측면과 시중 유동성 회전 감서 측면에서 선진국 개방경제 레벨의 국가에서 금리 인상만큼 확실한 물가상승 제어 수단은 없습니다. 물론,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 부문과 경기 냉각에 따른 침체는 일부 감내할 부분입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