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3년 8월 21일 작성 됨
Q.
북한이 미사일을 쏘면 왜주식이 폭락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과거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북한에서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하는 경우 주식 시장이 출렁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최근에는 미사일 발사를 해도 주식 시장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한국 주식 시장이 삼성전자 같은 글로벌 탑 티어 회사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전반적인 저평가 상태인 이유는 북한이라는 지정학적 리스크 때문이고 특히, 예측 가능성이 극도로 떨어지는 김씨 일가 통치 국가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ICBM까지 개발해 놓은 상태라 잠재적 리스크의 크기는 과거 보다 훨씬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출
2023년 8월 21일 작성 됨
Q.
중국 부동산 파산이 우리나라도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선, 채권채무 및 자산을 미국 내 보유한 법인의 경우 미국 관할 파산 법원에 파산 신청이 가능합니다. 헝다 그룹이 미국에서 파산 보호 신청을 한 것은 당연히 미국 내 법인이 있고 해당 법인의 자산 및 채권채무가 있기 때문이며 당국의 지시가 있었다면 일종의 미국에 대한 경고의 의미도 어느 정도 있다고 판단됩니다. 중국과 무역 전쟁 중인 미국의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가 중국입니다.중국의 부동산 위기가 번지면 금융 분야로 확대됩니다. 그럴 경우 당연히 한국 경제도 크게 타격을 입게 됩니다.중국 자금이 국내 여러 산업 깊숙이 들어와 있기도 하고 중국은 한국의 제1의 교역국입니다. 중국 경제 위기는 바로 한국 경제의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8월 21일 작성 됨
Q.
코인시장에서 NFT라는 용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NFT는 Non-Funsible Token의 약자입니다. 복제가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의미인데 과거에 무한 복제가 가능했던 디지털 자산에 블록체인을 접목하여 유일무이한 자산으로 만든 것을 의미합니다. 가령, 마이클 잭슨의 서울 공연 사진이 있다면 NFT화 하면 세상에 하나 밖에 없는 디지털 자산이 되어 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입니다. 재작년 한 때 버블이 컸고 지금은 시장이 다소 소강상태이나 NFT 시장 자체는 지속 성장이 예상됩니다.
경제동향
2023년 8월 21일 작성 됨
Q.
중국발 금융위기 대처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등 선진국발 경제 및 금융 위기 보다는 그 파급력이 크지는 않을 것이나 중국의 경우 한국의 제1의 교역국입니다. 중국이 본격적인 부동산 발 금융위기와 디플레가 현실화 될 경우 한국 경제의 타격은 여느 서구 경제권 보다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융, 부동산 등 산업을 망라하고 타격을 받을 것 같고 주식 시장의 경우 중국 시장 비중이 높은 소매, 제조업이 가장 타격이 클 것 같고 실제 관련 주가가 지속적으로 빠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중국 자금이 우리가 인지 하지 못할 정도로 한국 경제 전반에 많이 침투해 있습니다. 과거 IMF 금융위기를 초래한 자금이 일본의 엔화 자금이었던 것처럼 중국 자금은 한국 내 금융, 부동산 등 전분야에 폭넓게 침투해 있어 일시에 상환을 할 경우 큰 혼동이 초래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미국 국채 최대 보유국인 중국의 움직임에 따라 미국 경제도 영향권 내에 있습니다. 이런 관점을 볼 때 중국의 경제 위기는 글로벌 위기로 충분히 확장될 개연성이 있어 미중 무역전쟁 와중에도 중국 경제가 무너지는 것을 용인하지는 않을 듯합니다. 당장에 중국 당국이 미국 국채를 투매할 경우 미국 금융 시장은 일시에 붕괴될 수도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8월 21일 작성 됨
Q.
세계 경제가 엉망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사업포트폴리오가 갖춰져 있고 충분한 유보 현금이 있는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은 크게 문제될 만한 상황은 아닙니다. 그러나 재무건전성이 대기업만 못한 중견 기업 이하는 업종에 따라 부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중국 시장 주도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가진 기업은 지속적인 실적 압박을 받을 듯하고 고환율에 따른 수입 원가 비중이 높은 제조 기업도 수익성 관리에 어려움이 가중 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민국 경제 전체는 내년 상반기 정도까지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근래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내성은 어느 정도 갖춘 것으로 판단되어 나라 경제가 휘청거릴 정도의 타격을 입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996
997
998
999
10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