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보통 길가에서 곰을 만날 경우 죽은척을 하면 살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 말이 정말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곰은 죽은고기를 주로 먹는 야생동물로 죽은척을 한다고 해도 곰에게 공격당하거나 잡아먹힐 확률이 높습니다. 곰을 만났다면 최대한 들키지 않고 곰을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도망치는것이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마블 가재는 어떻게 혼자서 번식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마블가재의 생식 방법은 처녀생식입니다. 마블가재는 암컷 가재 혼자 수정없이 포란 후 방란을 하여 새끼를 낳습니다. 처녀생식은 무수정 단성생식으로 어미가재와 새끼가재들의 유전자가 100% 일치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해바라기처럼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그 꽃 방향이 따라 움직이는 식물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해바라기와 같이 해를 따라 꽃의 고개가 이동하는 식물에는 복수초가 있습니다.복수초는 노란색 꽃이 피며, 20~30개의 꽃잎이 수평으로 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해양 생물의 게중에서 가장 크게 자라는 종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큰 게는 일본 거미 게 입니다. 마크로케라 켐페리라고도 하며 절지동물 중 가장 긴 다리를 갖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집게발 사이의 거리는 최대 3.6m에 달하며 등딱지 너비는 40cm 이고 무게는 최대 19kg 에 달합니다.일본 혼슈 섬 주변~ 도쿄만에 이르는 지역에 서식하는 종입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새우의 한 종류인 대하는 왜 양식이 어렵다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극동아시아에 서식하는 토종대하는 흰점 바이러스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현재 대하를 양식하는 곳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흰점바이러스는 새우에게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새우의 흉갑과 몸표면에 하얀 반점을 생성하는 난치성 전염병을 유발합니다. 대하와 생김새가 비슷한 흰다리 새우는 이 흰점 바이러스에 강하기 때문에 양식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국내에서 보호가 필요한 멸종위기종은 무엇인가요?
멸종위기종 목록이 조회가능한 홈페이지 링크를 함께 첨부 드립니다.https://species.nibr.go.kr/endangeredspecies/rehome/redlist/redlist.jsp여러 멸종위기종들을 보전하기위해 국립공원 지정등을 통해 동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위기종의 생태연구를 통해 번식 보존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고래는 수면을 어떻게하고 숨은 어떻게 하나요 ?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고래는 질문자님의 말씀처럼 물속에사는 포유동물입니다. 폐호흡을 하기 때문에 물밖으로 나와서 숨을 쉬어 주어야합니다. 고래는 수면을 할때 반구수면이라는 것을 하는데요, 뇌희 한쪽만 수면을 하고 나머지 반쪽뇌는 깨어있어서 깨어있는뇌로 호흡을 하고 반대쪽뇌로 주변환경을 감지 할 수 있게됩니다. 그렇기때문에 잠을 자는 도중에도 유영을하고, 호흡을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돌고래가 언어를 사용한다고 하는데 지역마다 다른지 아니면 같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돌고래는 다양한 주파수의 초음파와 행동을 통해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지능이 높은 동물입니다. 돌고래의 종에 따라서, 혹은 돌고래의 서식지에 따른 무리의 차이에 따라 각 무리가 사용하는 초음파의 주파수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때문에 비유하자면 각국의 나라사람들의 언어가 다르듯이 다른 바다에 사는 돌고래 끼리는 다른 주파수로 대화를 나누기때문에 소통이 어려울 것으로 추측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8월 16일 작성 됨
Q.
바이러스는 생물일까요?? 아니면 무생물일까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생물이란 스스로 대사를 하는 물체를 말합니다. 바이러스는 단백질 껍질 속에 핵산을 가지고 있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스스로 대사활동을 할 수 없으나, 숙주 세포내에서 한정적으로 대사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생물로 보지는 않으며, 생물은 아니지만 숙주 세포 내에서 한정적으로 생물의 특징을 갖는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 존재라고 표현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8월 16일 작성 됨
Q.
달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지구에 생명이 탄생하기 어려웠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달과 지구 생명체의 출현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달이 존재 하기때문에 우리 지구의 바다에 조석간만의 차가 생겼습니다. 예전에는 지금보다 달과 지구사이의 거리가 더 가까웠기때문에 조석간만의 차가 더 컸습니다. 최초의 생명체는 바다속에서 발생을 하였고, 이 생명체가 육지로 진출하며 엄청난 진화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바닷속에 살던 생명체가 육지로 진출하는데에는 조석간만의 차가 굉장히 크게 기여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기때문에 달이 지구 생명체 줄현에 기여했다는 얘기는 사실로 볼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