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어떻게 앵무새는 사람의 목소리를 흉내낼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사람은 후두에 있는 성대로 소리를 내고, 긴 인두와 혀로 다양한 음을 내 발음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동물들은 후두와 혀의 높이가 비슷하고, 인두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단순한 울음소리만 낼수 있는데, 반면에 앵무새는 성대는 없지만 폐위쪽에 존재하는 울대를 사용해 공기의 흐름을 자유자재로 바꾸어 여러가지 소리를 낼 수 있고 두꺼운 혀를 자유롭게 움직여 인간의 언어와 비슷한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연가시 기생충은 원래 처음부터 곱등이 몸 속에 있던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연가시는 짝짓기를 통해 물에 수백만개 이상의 알을 낳습니다. 이 알은 부화하여 유충이 되고, 이 유충을 물에 사는 곤충들이 먹게되면 그 곤충을 숙주로 하여 곤충안에 기생하여 살아가게 됩니다. 다시 물에사는 곤충을 곱등이나 사마귀등의 육식곤충이 잡아먹게되면 숙주를 옮겨 기생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맹장은 정말 쓸모없는 내장기관인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맹장은 소장에서 소화와 흡수가 끝난 뒤 음식물에 남아있는 수분과 염분을 흡수하고, 점액과 내용물을 섞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흔히 맹장염이라고 부르는 것은 정확하게는 이 맹장에 붙어있는 작은 돌기인 충수에 발생하는 염증인데, 이 충수의 기능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충수염이 발생하여 제거를 해도 살아가는데에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사람이 머리카락을 먹게 될 경우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사람의 머리카락은 케라틴성분으로 되어있는데, 사람의 소화액에는 케라틴을 분해하는 효소는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위장으로 들어간 머리카락은 소화되거나 분해되지않고 그대로 변으로 배출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말벌은 무엇을 먹고 사는건가요?? 말벌은 꿀도안모으죠?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말벌은 잡식성 곤충으로 나무의 수액을 먹기도하고, 곤충을 잡아먹기도합니다. 심지어는 작은 벌들의 애벌레나 벌집의 꿀을 뺏아먹기도 합니다.말벌은 따로 꽃에서 꿀을 모으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가을에 단풍이 지는 것은 이 엽록소가 변해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가을이 되면 일조량이 줄어들어 나뭇잎의 광합성량이 줄어들어 자연스레 엽록소의 역할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초록빛을 띄게 하는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나뭇잎에 존재하는 다른 색소가 도드라지게 되면서 단풍이 들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바퀴벌레나 모기가 계피향을 실제로 싫어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 계피에 함유된 유지놀이라는 성분에는 살충효과가 있습니다. 유지놀은 특정한 향을 가지고 있고, 이 향은 바퀴벌레나 모기의 후각을 마비시키는 효과가 있어 살충효과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매미의 경우 땅속에서 몇년의 기간을 살다가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매미가 유충의 상태로 땅속에 사는 기간은 그 종에 따라 3년, 5년, 7년, 13년 17년 등 다양합니다.우리나라에는 주로 7년을 주기로 번식하는 참매미와 유자매미가 가장 흔하고, 이들은 7년의 기간동안 유충상태로 땅속에서 나무수액을 빨아먹으며 생활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숲속에서 백설공주를 만났습니다. 순백의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이름을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사진에 보이는 버섯은 흰가시광대버섯으로 보입니다. 흰가시광대버섯은 한국 중국 등 북반구 일대에서 분포하는 버섯의 한 종류로, 백색이며, 가시모양 인편이 부착되어있는것이 특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식용으로 하고 있지만 독버섯으로 기록된 문건이 있기떄문에 식용으로 하실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현재 구피 두마리가 바늘꼬리병으로 짐작되는 병에 걸려서 꼬리가 조금 접히기 시작햇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구피 꼬리에 병이 생겼을때는 환수도 중요하지만 약욕을 해주는것이 가장 좋습니다.동물약국에서 파는 네오테라를 이용하여 약욕을 해주시면되는데,네오테라를 물 1리터에 0.1g 희석한 물에 구피를 넣고 약욕을 해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