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도심 주택한복판에 천장 모서리쪽에 제비집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곳에 집을 짓는경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환경지표종인 제비는 예전부터 주로 뱀이나 다른 천적등으로 부터 알과 새끼를 지키기 위해 사람이 사는 곳에 둥지를 트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고층 빌딩과 아파트를 많이 짓고, 지구 온난화 등으로 제비가 많이 사라지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매미도 밤에 잠을 자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매미가 울기 위해서는 두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바로 온도와 빛이 충족되어야하는데요, 변온동물인 매미가 울기위해서는 체온이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해가있는 낮 중에서도 기온이 높을때만 매미가 울 수 있습니다. 해가진 후 기온이 떨어지면 매미는 울 수 없게 되어 나무나 기둥같은곳에 붙어 휴식을 취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잠을 잘때 성장호르몬이 나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잠과 성장호르몬과의 관계는 잠을잘때 분비되는 멜라토닌과 관련되어있는 데요, 숙면을 취할때 분비되는 멜라토닌은 인간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킵니다. 멜라토닌은 낮에 햇빛을 받으면 생성되었다가 빛이 없는 밤이 되면 분비되기 때문에 낮과 밤, 빛과도 관련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참새는 여러 종류가 있나요? 있다면 어떤 종류가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참새는 참새목 참새과의 새로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텃새로, 아시아와 유럽에 폭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130여 종이 있습니다.흔히 알려진 참새의 종에는 집참새, 황조롱이, 바다숲참새, 메아리참새, 미국개미집참새, 중부아메리카페트참새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사는 작은 육식동물인 삵과 잡식동물 너구리 중 누가 더 커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삵과 너구리는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삵이 살짝 더 큰것으로 보입니다.삵은 몸길이 90cm, 몸무게 3~7kg 정도이며, 너구리는 몸길 70cm, 몸무게 3~10kg 입니다. 몸길이와 체중을 비교해보시면 알 수 있지만 삵은 고양잇과 동물로 몸통이 너구리에 비해 가늘고 팔다리가 긴편이라 체중은 적게나가지만 좀 더 큰것을 알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5일 작성 됨
Q.
주파수를 이용해 소통할 수 있는 동물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정확히 말하면 인간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인 초음파를 사용하여 의사소통 하는 동물이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ㅎ돌고래를 포함하여, 박쥐, 두더지, 나방 등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5일 작성 됨
Q.
비가 올때 보면, 항상 지렁이는 왜 꾸물꾸물 지면으로 올라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지렁이는 피부로 호흡을 하는 생물이며 평소에는 흙속에서 생활을 합니다. 비가와서 흙속에 빗물이 스며들게 되면 지렁이가 호흡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땅 위로 올라오게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비둘기는 초식 동물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비둘기는 주로 씨앗이나 풀, 야채, 과일 등을 주로 먹고 단백질 보충을 위해 작은 곤충이나 지렁이등을 먹습니다.비둘기는 잡식입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식물들중에서 식충식물로 진화된 이유가 무엇이엇을까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우리가 잘아는 끈끈이주걱이나 파리지옥은주로 습지에 서식하는 식물입니다. 습지는 일반토양과다르게 산소가 부족한 환경이기 때문에 토양속에호기성미생물이 잘 살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습지에서식하는 식물은 질소와 인을 잘 공급받지 못하게 되었고 그 결과 식충이라는 방법으로 질소와 인산을 얻도록 진화하였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고라니와 노루의 구별법이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고라니와 노루는 생김새는 비슷하지만 고라니는 10키로 내외로 크기가 비교적 작고, 노루는 30키로 내외로 크기가 더 큽니다.또한 고라니는 뿔이 없고 수컷노루는 뿔을 가지고 있으며 대신 고라니는 큰 엄니를 가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