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집주인이 갑자기 월세를 올려달라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집주인이 갑자기 월세를 올려 달라고 하셨군요.많이 당황스럽고 속상하시겠어요 다음과 같이 살펴보겠습니다.말씀하신 분의 말씀처럼 계약 기간이 끝나기 전이라면 집주인이 월세를 아무리 올려 달라고 하셔도 거절하실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집주인 마음대로 올릴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지금 집주인 분과 계약서 쓰고 살고 계신 거잖아요? 그 계약 기간 동안에는 집주인께서 월세를 마음대로 올릴 수 없습니다. 이건 법으로 정해진 내용이라서, 혹시 올려 달라고 하시면 "아직 계약 기간인데요?"라 고 단호하게 거절할 권리가 있으십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다만, 만약 계약 기간이 다 끝나서 재계약을 해야 할 시점이라면, 그 때는 집주인께서 월세를 올리실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막무가내로 올리는 게 아니고요, '전 월세 상환 제'라고 해서 보통 기존 월세의 5%이상은 못 올리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막 다 올리고 싶다고 다 올릴 수 있는 건 아닙니다.그러니 일단은 말씀하신 분께서 지금 집 계약서에 계약 기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계약서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집 주인 분께도 당당하게 이야기 하셔도 됩니다.갑자기 이런 일이 생기면 정말 답답하고 짜증 나실 텐 데,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Q. 처음 내 집 마련할 때 중요한 요소는 뭘까?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첫 내 집 마련 로드 맵 ==>예산 짜기 및 자금 계획 :재정 상태 파악 : 현재 순 자산과 부채를 정확히 확인하여 실질 적인 구매력을 파악하고, 구입할 아파트의 시세와 대출 한도를 충분히 알아보셔야 합니다.주택 담보 대출, 보금자리론, 디딤돌 대출 등 정부 지원 대출 상품의 종류와 받을 수 있는 최대 한도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총 비용 고려 :대출 금리, 매달 상환할 원리 금 뿐만 아니라, 주택 가격 외에 발생하는 취득세(생애 최초 감면 혜택 확인), 중 개 보수, 법무 사 비용, 이사 비, 인테리어 비용, 그리고 입주 후 발생할 월 관리비 등 모든 부대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자금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정부 및 지자체의 생애 최초 주택 구매 지원 혜택도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타이밍 로드 맵 : 납부 일정 및 대출 조율 :계약금 납부 이후 중도금과 잔금 납부 일정을 철저히 확인하고, 해당 자금을 언제, 어떻게 마련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대출을 활용할 경우, 대출 실행 시기와 조건을 미리 금융기관과 조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입주 절차 준비 :아파트 완공 후 입주 전 사전 점검 기간을 활용하여 하자를 꼼꼼히 확인하고 보수를 요청하세요. 잔금 완납 후에는 본인 명의로 소유권 이전 등기를 진행하고 취득세를 납부한 뒤 입주하게 됩니다.이 과정에서 필요한 서류와 절차를 미리 파악하고 준비하는 것이 성공적인 입주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