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본의 반도체가 망하게 된 이유와 우리나라 반도체가 떠오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일본의 반도체 산업은 1980년대에는 전 세계에서 최고 수준을 자랑했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부터 일본 업체들은 고가의 제조 설비 투자, 제조 공정의 고도화, 경쟁 업체들과의 가격 경쟁 등으로 인해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일본의 노사 간 갈등과 체질적인 문제도 존재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의 반도체 산업은 퇴보하게 되었습니다.한편, 한국은 1990년대 중반부터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국가적인 지원을 통해 반도체 산업을 성장시켰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기업들이 초고속 공정 기술과 대량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민간기업들이 개인의 능력과 열정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따라서, 일본의 반도체 산업은 경쟁력의 부진과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쇠락하게 되었고, 한국의 반도체 산업은 국가적인 지원과 민간기업들의 열정적인 노력으로 인해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Q. 태양의 중력이 더 강력해진다면 지구는 점점 태양과 가까워지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중력이 강해진다면 지구의 궤도는 보다 태양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이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중력이 지구의 운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에 따라 지구가 태양에 충돌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구의 운동량과 중력 상태는 보존 법칙에 따라서 변하지 않으므로, 태양과의 중력이 강해진다 해서 지구가 단순히 태양에 끌려들어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태양으로부터 받는 태양복사 에너지가 증가하게 되어, 지구의 기후와 생태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 '전류의 열작용'에서 3가지 효과의 실사용에 관해서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제벡효과(Seebeck effect): 금속 또는 반도체의 양 끝을 접합하여 거기에 온도 차를 주면 회로에 열기전력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온도계나 열전지 등에 사용됩니다.펠티어효과(Peltier effect):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을 접합하여 전기를 흐르게 하면, 접합부에서 열이 생성되거나 흡수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침대나 의자 등에 사용되는 열선을 이용한 전기장치에서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열을 제어하고 온도를 유지합니다.톰슨효과(Thomson effect): 전류가 흐르는 금속 또는 반도체 소재에서 열 전도가 일어날 때, 전류 방향과 열의 전달 방향이 일치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컴퓨터 CPU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기 위해 톰슨 효과를 이용한 열 관리 장치가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