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전진호 전문가
방위산업체
화학
화학 이미지
Q.  실제온도와 체감온도가 차이가 나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 기온보다 체감 온도가 다른 이유는 우리 몸이 열을 빼앗기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같은 기온이라도 바람이 불면 체감 온도는 더 내려가는데 바람이 불면 체온을 더 빨리 빼앗기게 됩니다. 또는 몸에 물이 묻었거나 옷을 입은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찌그러진 탁구공을 원래대로 부풀리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탁구공에 구멍이 나지 않은 상태라면 물을 끝여서 탁구공에 붓거나 아니면 냄비안에 탁구공을 넣으면 탁구공 내부의 공기가 부풀어오르면서 공이 펴집니다. 공에 구멍이 난 상태면 공기가 팽창하면서 새어버려서 펴지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1광년은 어느정도의 거리인가요? 계산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1광년은 빛의 속도로 1년간 가야하는 거리이며 빛의 속도는 초당 300,000 킬로미터입니다. 이 속도로 1년간 갈 수 있는 거리는 약 9조4천6백8만 킬로미터입니다. 우주는 너무나 광활해서 우리가 지구에서 사용히는 단위로는 거리를 표현하기 힘들기 때문에 우주의 거리를 표현할 때는 광년이리른 표현을 사용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GPS는 왜 적어도 3개의 인공위성이 필요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GPS는 위성이 지구의 GPS기기와 송수신을 해서 위치를 파악하는데 그 방법이 바로 삼각측량법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삼각측량은 어떤 모르는 지점까지의 위치(거리 및 각도)를 다른 3개 지점에서 관측하여 구하는 방식입니다. 삼각 측량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와 위치를 구하려면 최소 3개의 위성신호가 필요합니다. 그 이하이면 위치의 오차가 많이 발생하게됩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보온병의 과학적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와의 열 차단이 중요합니다. 보온병은 외부 케이스, 내부 케이스 2중으로 구성이 되는데 이 케이스 중간에 단열재를 넣어 내부와 외부의 열 전달을 최소화합니다. 예전에는 단열재로 스티로폼을 많이 사용했는데 요즘은 아예 진공 상태로 만들어 열전달 물질을 없애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고도가 높아지면 왜 추워 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곳으로 갈 수록 기압이 낮아집니다. 기압이 낮으면 공기가 퍼지게 되는데 공기가 퍼지면서 주변 공기를 밀어내는데 에너지를 빼앗겨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높은 곳으로 가면서 태양과의 거리가 좁혀져 얻게 되는 에너지보다 지표면에서 멀어지면서 약해지는 복사열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바닷물을 마시면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은 염분이 높습니다(염도 약 3퍼센트). 염분이 높은 수분이 몸(염분 약 0.9퍼센트)에 들어오면 염분차이로 인해 염분은 낮추기 위해 우리 몸의 세포에 있던 수분이 바닷물쪽으로 이동하는 삼투압현상이 일어나 우리 체내의 수분이 빠져나가 탈수 현상으로 죽게 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추우면 몸이 떨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을 포함한 포유류는 항온 동물, 즉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물입니다. 날씨가 추워지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몸을 움직이게 되는데 이는 자율신경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됩니다. 몸이 떨리는 현싱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반응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수압으로 돌을 자르는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가능합니다. 워터젯이라는 고압의 분사기를 통해 수압을 높여 철판을 자르기도 합니다. 워터젯으로 가공하면 별도의 톱날도 필요없고 절단시 열도 발생하지 않아 더 효과적이지만 고압 분사장치를 구비하는데 비용이 발생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행기의 날개 모양 비행기와 새가 나는 원리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와 새가 나는 원리는 다릅니다. 새는 날개짓을 하여 공기를 아래로 힘차게 내려보내면서 납니다. 반면 비행기는 날개의 단면이 위쪽은 곡선, 아래쪽은 수평인데 이러한 구조에 공기가 흐르게 되면 위쪽은 공기 속도가 더 빠르게 되면서 압력이 낮아져 양력이라는 떠오르는 힘이 발생합니다. 이늘 베르누이의 원리라고 합니다. 비행기가 뜨기 위해서는 강한 속도의 바람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제트엔진을 사용합니다. 보통의 여객기가 활주로를 달려서 땅에서 떠오르기 위해서는 약 220 km/h 의 속도가 되여야 떠오르기 시작하며 정상 항로에 올라가게 되면 속도는 약 700km/h 로 비행을 합니다. 비행기의 속도 차이는 비행기의 크기, 엔진 종류, 날개 모양 등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