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전진호 전문가
방위산업체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사과를 깍아놓으면 왜 갈색으로 변하는걸꺼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깎아놓은 사과가 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사과에 포함된 철분 성분이 공기중의 산소와 닿아서 산화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철이 녹스는 것과 같은 현상입니다. 먹어도 인체에 해는 되지 않습니다.
토목공학
2022년 12월 1일 작성 됨
Q.
날씨가 추우면 발과 손이 먼저 차가워 지는지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몸에서 열이 식는 것은 온도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을 수록 빨리 차가워집니다. 우리 손과 발은 손가락과 발가락으로 인해서 동일 부피의 신체부위보다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훨씬 넓기 때문에 빨리 시려워지는 것입니다. 귀도 마찬가지입니다. 양면으로 모두 노출되기 때문에 빨리 시려워집니다.
물리
2022년 12월 1일 작성 됨
Q.
맞불작전으로 불을 끄는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을 끄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발화점보다 온도를 낮추는 방법, 산소를 차단하는 법, 타는 물질을 없애는 법입니다. 산불을 끌 때 맞불 진화는 불이 번져나가는 방향의 더 앞쪽에서 불을 일부러 지펴 타는 물질을 없애버리는 방법입니다. 물론 맞불을 지필때는 맞불로 인해 추가 산불이 번지지 않도로 다 조치를 취한 후에 진행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비행기가 지나가고 나서 소리가 나는 이유 ?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음속은 초속 약 340미터의 속도이고 우리가 비행기를 보는 것은 빛의 속도인 초속 30 만 킬로미터입니다. 우리가 비행기를 보고난 후에 소리가 들리는 것은 음속이 빛의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엘레베이터가 추락할 때 마지막 충격때 뛰면 살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엘리베이터에 탄 상태로 같이 추락을 하게되면 무중력인 상태로 몸이 떠버릴 것이기 때문에 점프 자체를 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운이 좋아 바닥에 붙어있다가 충돌 직전(이것도 알 수가 없겠죠?) 점프를 한다해도 그것은 엘리베이터 바닥과 상대적으로 멀어진 것일뿐 높은곳에서 부터 낙하하던 힘은 그대로 우리 몸에 작용하고 있습니다. 엘리베이터는 그런 낙하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층마다 강제 멈춤 장치도 있고 제일 바닥에는 완충장치도 적용하도록 되어있습니다.
화학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몇몇 나라들은 왜 110볼트를 사용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110볼트보다는 220볼트가 송전이나 전력효율이 훨씬 좋습니다. 발전소에서 가정으로 전기를 보낼 때 거쳐야하는 변전소도 줄어들고요. 아직 110볼트를 사용하는 나라는 이미 110볼트용으로 갖춰진 변전소나 인프라가 충분하여 220볼트로 바꿀때의 비용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110볼트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110볼트를 사용하다가 1980년도가 되어서야 220볼트로 거의 다 교체가 되었습니다.
토목공학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로드킬비율이 왜 개보다 고양이가 압도적으로 많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고양이는 개에 비해 날렵합니다. 사람 키 정도 높이에서는 눕혀서 떨어뜨려도 스스로 몸을 돌려 바른 자세로 착지를 할 정도입니다. 그 날렵함을 자기 스스로도 인지를 하고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다른 동물들우 자동차가 다가오면 미리 피하는데 고양이는 자기의 날렵함을 믿고 늦게 피하는 경향이 있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식중독은 여름에 생기는거 아닌가요? 겨울철에도 시중독이 걸린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식중독은 주로 부패한 음식을 잘못 섭취해서 걸리는데 여름이 겨울에 비해 음식이 더 잘 상해서 식중독에 걸리는 비율이 높을 뿐이지 겨울이라고 음식이 상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더 천천히 상하는 것입니다. 겨울에도 충분히 오래되어 상한 음식을 먹으면 식중독에 걸립니다.
물리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비행기나 미사일이날아갈때 마하라는 속도로 닐아가는대. 마하라는 속도는 몇km/h 속도를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마하는 음속의 단위입니다. 음속은 초속 약 340미터(공기의 온도에 따라 달라짐)입니다. 이를 시속으로 계산하면 1,224,000 미터, 1,224 km/h 의 속도입니다.
물리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야구 선수의 구속을 측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공의 속도 측정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합니다. 움직이는 물체에 주파수를 쏘면 물체의 이동속도에 따라 반사되어 돌아오는 주파수의 Hz가 변화하게됩니다. 가까워지는 것은 반사파의 주파수가 커지고 멀어지는 것은 반사파의 주파수가 작아집니다. 이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속도른 측정하게 됩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