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전진호 전문가
방위산업체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7일 작성 됨
Q.
비행기가 날아가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가 날아오르는 원리는 베르누이의 원리입니다. 비행기 날개 단면을 보면 윗면은 굴곡이 져있고 아랫면은 수평입니다. 여기에 공기가 흐르게 되면 위쪽 공기가 더 빨라지고 이때 빠른쪽으로 힘이 가해지는데 이를 양력이라고 합니다. 이 양력으로 비행기가 뜨기 위해서는 속도가 최소 220 km/h 이상이어야합니다. 일단 뜨고나면 양력을 유지하기위해 그 이상의 속도로 날아야합니다. 보통 여객기가 항로에 들어서면 속도가 700 km/h 정도입니다. 제트 엔진으로 속도를 내주어야 양력이 유지됩니다.
전기·전자
2022년 11월 7일 작성 됨
Q.
스텔스기는 어떻게 감시망을 피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레이더는 전파를 쏴서 물체에 맞고 돌아오는 전파를 이용해 물체를 감지합니다. 스텔스기에는 스텔스 도료라 하는 특수한 페인트칠을 하는데 이것을 칠하면 전파를 모두 흡수해버려서 반사파를 만들어내지 않습니다. 그래서 레이더가 감지할 수 없는 것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6일 작성 됨
Q.
오로라는 어떻게 생기며 어느지역에서 많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온 전기입자들이 지구 대기권으로 진입하면서 공기와 부딪히면서 빛을 내는 현상입니다. 우주의 전기입자들은 극지방(남극, 북극)에 자기장이 강하여 주로 극지방으로 유입되어 극지방에서 오로라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관찰이 안됩니다.
화학
2022년 11월 6일 작성 됨
Q.
원자력 에너지 사고 시 위험한데 기간 연장을 왜 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원자력은 위험하지만 원자력으로 공급하는 전기가 우리나라 총 전기 사용량의 약 30프로 정도를 차지하고있습니다.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하게 되면 전기를 충당하기 위해 엄청난 다른 자원(주로 화력)이 필요하며 전기 생산 비용도 원자력 발전이 저렴한 편입니다. 전기 사용량을 줄이지 않는 이상 발전소를 폐쇄한다는 결정이 쉬운 것은 아닙니다.
토목공학
2022년 11월 6일 작성 됨
Q.
빌딩풍이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빌딩 사이는 통로가 좁은데, 넓은 곳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좁은 곳으로 들어오면 속도가 빨리집니다. 물총을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발사구가 넓은 물총은 같은 힘으로 밀어도 멀리 나가지 못하는데 발사구가 좁은 물총은 더 빠르게 멀리 나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화학
2022년 11월 5일 작성 됨
Q.
메아리는 어떤원리로 들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메아리는 소리가 맞은편 산에서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는 소리입니다. 앞쪽에 산이 많을 수록 여러번 들리게 됩니다. 도심에서도 메아리가 들리긴 하지만 소리가 작고, 소리가 반사되는 곳이 많으면 너무 분산되어버려 돌아오는 소리의 크기는 너무 작아져서 들리지 않게 됩니다.
전기·전자
2022년 11월 5일 작성 됨
Q.
컴퓨터나 타자기의 글자배열이 알파벳 순서가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키보드의 배열은 한글이나 영어 알파벳 모두 순서대로 되어짔지 않죠. 그것은 많이 쓰이는 글자가 움직이기 쉬운 손가락에 배치된 것입니다. 물론 시대가 변하면서 많이 쓰이는 글자도 바뀌지만 한번 정해진 틀이 바뀌기는 쉽지 않죠.
화학
2022년 11월 5일 작성 됨
Q.
경유 넣을때 시동을 꺼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경유는 말씀하신대로 발화점이 높아서 불이 붙기 힘들지만 그래도 가장 중요한건 안전이죠. 사고란 언제 어떻게 일어날지 모르니까요.
화학
2022년 11월 3일 작성 됨
Q.
압력 밥솥의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기압이 올라갈 수록 물의 끓는점도 함께 올라갑니다. 압력솥은 밀폐되어 내부의 압력을 높여 고온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때문에 맛있는데, 질문자님의 압력솥은 패킹이 완전 망가진게 아니라 조금만 세는 것 같습니다. 끓이다가 압이 차면 조금 빠지고 다시 압이 차고 빠지고를 반복하는 것 같은데 쌀이 다 익기도 전에 압력이 빠지면서 식어버리고 그런 과정이 반복되서 밥이 푸석푸석해지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2년 11월 3일 작성 됨
Q.
무선 이어폰 노이즈캔슬링 기능의 원리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노이즈라는 것은 내가 원하지 않는 소리를 없애는 기능입니다. 전자회로에는 저주파 필터, 고주파 필터가 있는데 코일, 커패시터, 저항 등의 값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주파수 영역만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할 수 있습니다. 노이즈 캔슬링은 사람 목소리의 주파수 대역만 받아들여 신호른 처리하는 장치입니다. 소음(노이즈)는 사람 목소리세 비해 주파수 너무 낮거나 높은 특성을 가집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