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전진호 전문가
방위산업체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우리가 보는 태양은 8분전 태양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속도는 초당 30만 킬로미터입니다. 지구에서 태앙까지의 거리가 약 1억 5천만 킬로미터로 태양에서 출발한 빛이 지구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1억5천만/30만 = 약 500초 = 8.333...분이 걸리게 됩니다. 다른 별들도 마찬가지로 거리가 멀 수록 과거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17일 작성 됨
Q.
밤하늘에 보이는 별도 계절마다 바뀌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있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도 상이합니다. 우리가 밤에 관찰할 수 있는 별자리는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의 반대편 있는 별들이며 지구가 공전을 하면서 밤에 1년 주기로 별자리의 위치도 변화하게 됩니다.
화학
2022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에어컨이 시원해 지는 원리는 뭐예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액체가 증발할 때는 주위의 열을 빼앗게 되는데 이를 기화열이라고 합니다. 에어컨에서 사용하는 냉매는 프레온가스인데, 에어컨 실외기에서 이 가스를 압축하여 액체상태로 만들었다가 압력이 낮은 경로로 내보내면 기체로 바뀌면서 공기를 차갑게 만듭니다. 이공기를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이 불어주는 것이죠. 다시 기체가 된 가스를 모아서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압축하면 액체가 되고 이를 무한반복하는 것입니다. 에어컨은 주 장치는 실외에 설치된 실외기이고 실제 실내세 설치된 에어컨은 기능이 많은 선풍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이 최초목적지에서 계속 머무를수 있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은 거리에 따른 지구와의 중력과 평형을 이루어 위치를 유지합니다. 중력과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지구와의 거리가 멀수록 지구 주위를 도는 속도가 느려지고 거리가 가까울 수록 속도가 빨라집니다. 인공위성은 궤도에 안착할때까지는 로켓의 힘으로 가지만 궤도에 안착되고 나서는 이동을 윗안 에너지는 필요없습니다. 다만 통신을 하거나 전자장비를 가동하기 위한 에너지는 필요한데 이는 태양열을 이용하거나 전지를 이용합니다.
물리
2022년 10월 14일 작성 됨
Q.
속도 측정기는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속도 측정기(스피드건)는 주파수를 발사하여 그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속도를 측정합니다. 가까워지고 있는 물체에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사하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주파수는 더 커지게 되고 멀어지는 물체는 반대로 주파수가 작아지게 됩니다. 이를 "도플러효과"라고 합니다.
전기·전자
2022년 10월 14일 작성 됨
Q.
건물 자동문에 접근했을 때 어떻게 문이 열리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자동문 상부를 보시면 카메라렌즈처럼 생긴 장치가 있는데 이는 적외선 근접센서입니다. 적외선을 발사하고 있다가 물체가 가까워지면 그 물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문이 열리게 하는 원리입니다. 적외선 감지부의 반응세기를 조정하여 감지거리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14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은 어떻게 비행을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은 이동속도,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지구 중력의 힘과 평형을 이루어 움직이게 됩니다. 로켓 발사 후 인공위성의 궤도에 안착했을 때의 속도가 빠를 수록 지구와의 거리는 가까워야 인공위성이 떨어지거나 우주로 벗어나지 않습니다. 지구의 자전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인공위성들의 경우입니다. 반대로 정지 위성은 지구의 자전속도와 같이 움직이는데 속도가 느린만큼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더 멀어지게 됩니다.
전기·전자
2022년 10월 13일 작성 됨
Q.
감전 경험이 있는데, 전선이 손에서 떨어지질 않더라구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을 움직이는 신호는 뇌에서부터 세포간의 시냅스라는 조직을 통해 전기신호로 전달이됩니다. 감전을 당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신호로 인해 뇌에서 보내는 신호가 우리 몸으로 정상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물리
2022년 10월 13일 작성 됨
Q.
포병 포탄 탄착 원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포탄은 탄도해석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발사됩니다. 이는 이론적 계산 및 수없이 많은 실제 사격을 통해서 사격시 포의 각도, 장약세기, 바람의 방향과 세기, 기온, 기압, 표적의 움직이는 방향과 속도, 고도 등의 데이터가 포탄의 명중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시험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반영합니다. 이를 탄도해석학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13일 작성 됨
Q.
번개와 천둥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는 빛이고 천둥은 소리입니다. 빛의 속도는 시간당 30만킬로미터이고 소리의 속도는 초당 약 340미터입니다. 따라서 소리의 속도가 빛의 속도를 앞서지는 못합니다. 번개의 바로 옆에 있다면 동시에 발생할수는 있지만 번개로부터 거리가 멀어질 수록 번개가 친 후에 천둥소리는 더 늦게 들리게됩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