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계공학과를 나오면 삼성서비스센터 이런곳도 취업하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과 졸업생이 삼성서비스센터와 같은 곳에 취업하는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주요한 취업 분야는 아닙니다. 삼성전자서비스의 설치 · 수리 기사 직무에 기계공학 전공자가 합격한 사례가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삼성서비스센터는 주로 가전제품 수리 및 고객 서비스에 중점을 두며, 기계공학 전공자가 배우는 깊이있는 기계 설계, 생산, 연구개발과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기계공학과 졸업생의 주요 취업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조업 : 자동차,조선,항공,중공업, 기계 장비 등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서 기계 설계, 생산관리, 품질 관리, 연구 개발 등의 직무를 수행합니다. 건설 및 플랜트 : 기계 설비의 설계, 시공, 유지보수 분야에서 일합니다. 연구 개발 : 로봇, 자동화, 신소재, 에너지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합니다. 공기업 및 공공기관 : 기술직 공무원이나 공기업에서 기계 관련 업무를 담당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기계공학은 기계의 원리를 이해하고 새로운 기계를 만들거나 기존 기계를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는 학문이며, 서비스센터보다는 위에서 언급된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Q. 현재 버드스트라이크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나 장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비행중 버드 스트라이크는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수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장치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방지 노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항 주변 야생동물 관리 : 공항 활주로 주변의 새 서식 환경을 제거하고 맹금류를 이용하거나 소리, 빛 등을 활용해 새를 쫓아냅니다. 레이더 및 센서 기술 : 조류의 이동을 감지하여 항공기에 경고를 보내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항공기 설계 개선 : 엔진의 내구성을 강화하거나, 조종석 유리창을 새 충돌에 견딜수있도록 설계하는 등 항공기 자체의 내성을 높입니다. 음향 퇴치 장치 : 새들이 싫어하는 소리를 발생시켜 접근을 막는 기술도 사용됩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버드 스트라이크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으며, 기술 발전과 함께 지속적인 연구와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Q. 상향절삭과 하향절삭의 장단점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기계가공시 상향절삭과 하향 절삭은 공구의 회전 방향과 이송 방향에 따라 나뉘며, 각각의 장단점이 명확합니다. 상향 절삭(up-milling)공구가 공작물의 이송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며 절삭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 진동이 적고, 공구 수명이 길며, 가공 정밀도가 높은 편입니다. 단점 : 칩 배출이 어렵고, 가공면이 거칠수있으며, 기계의 백래쉬(backlash)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하향 절삭(down-milling)공구가 공작물의 이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절삭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 절삭력이 낮아 효율적이며, 가공면이 매끄럽고 칩 배출이 용이합니다. 단점 : 공구 마모가 빠를수 있고, 공작물 고정이 매우 중요하며 기계의 강성과 정밀도가 더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