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언문일치 소설로 바뀌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현실과 맞지 않는다는게 혹시 구어체와 문어체가 다르단 뜻이라면 그건 맞는 말 입니다만어디까지나 표기법이 다른 것일 뿐 현실이 반영되지 않는단게 아닙니다.토끼전은 "지도층의 억울한 수탈을 피하는 백성"이라는 현실이심청전은 "효도를 중요시 하는 유교사회"라는 현실이 반영된 내용입니다.문학은 언제나 현실의 반영이었습니다.현실의 역,거울상인 문학이더라도 마찬가지 입니다현실에 만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쓰여진 단 걸 생각하면 현실의 반영이 맞죠?언문일치체는 개화기 한반도의 여러 시도중의 하나 였습니다조선은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래 순언문(100% 한글 하층민이 주로 씀) 언한문(한자 섞인 한글 중간 계층이 주로 씀)이두문(한글창제 이전의 방식) 그리고 한자(지도 계층이 주로 씀)4종류의 표기법이 있던 4원제 상태였습니다.이렇다 보니 국민들이 통합 되지 못하고 교육부터 포고까지 글과 관계된 여러 사업에 문제가 생겼죠그래서 조정에서도 갑오경장 때 순국문(純國文),순한문(純漢文),국한문(國漢文) 의 3원제를 공식화 하는 등최대한 분열을 줄이려는 시도를 이미 하고 있었습니다결국 나라가 일본에게 넘어간 후에도, 아니 오히려 나라가 망해버렸기 때문에한민족의 얼을 유지하려는 노력은 더욱 가열차졌으며이런 맥락으로 1908∼1919년 이광수를 필두로한 여러 문필가들이 추진한 것이언문일치 운동인 것입니다.언문일치는 쓰는 글과 하는 말이 같다는 뜻으로기존의 한자식 문어체에 존재하던 "각설하고" 같은 글로만 쓰이는 어체를 제거함과 동시에구어체에 존재하는 사투리등의 각종 변형들 또한 배제한 "모두가 받아들일 한글"을 창조함으로써표기법, 언어규범을 통일하고 국론을 모으려는 시도였습니다이러한 시도는 현대까지 이어져“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이라는 표준어 규칙의 뿌리가 되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고전 문학 작품 중 꼭 읽어야 할 책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취향은 사람마다 시대마다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읽어야할 책도 읽지 말아야할 책도 없다는게 개인적인 의견이지만일단 2002년에 노벨연구소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전세계 54개국의 명망높은 작가,학자 들에게 물어본 결과과반수 이상이 [돈키호테]를 최고의 고전으로 뽑았다고 합니다중세 말 17세기 기사계급의 몰락을 풍자적으로 그린 [돈키호테]는질낮은 양산품이 만연해 몰락해가던 기사도 문학과 그것을 비난하기만는 비평가들을 동시게 비판하는 참여문학이자닿을 수 없는 꿈을 향해갈때의 즐거움과 결국 떨어질때의 비참함을 서로 모순되지 않게 동시에 보여준 자아성찰 소설이며무려 17세기에 쓰여진 소설임에도 상호 텍스트성, 작가의 죽음, 독자비평 등등 현대 소설의 특징을 어느정도 지니고 있어현대인이 봐도 매력적인 시대를 뛰어넘은 작품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소설을 구분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가장 확실한 방법은 한자의 뜻(한자가 아니라면 어원)을 확인하는 것 입니다예를 들어장편이랑 단편은 이름이 그대로 길 장長=긴 이야기/짦을 단短=짦은 이야기이라서 명칭 자체가 뜻입니다.중편(중간길이) 도 있지요현대소설, 중세소설 같은것도 그냥 창작된 시대 이름이 앞에 붙어있는 것이니 구분이 간단하고과학소설, 판타지 소설, 추리소설 같은 장르적 구분도 이름 자체가 그 장르의 상징이죠그 밖에도가정소설:가정의 소소한 이야기를 소재로한 소설대중소설: 대중을 타겟층으로 한 소설대하 소설: 역사라는 큰 강(大河대하)의 일부를 소설화 한 것몽유록 소설: 몽夢(=꿈에서)유遊(=놀던 록)+錄(=기록)=다른 삶을 사는 꿈을 꾸는 형식의 조선시대 소설등이 있습니다다만고전(古典 / Classic)은"창작된지 오래되어도 여전히 흥미로우며 그 가치를 인정받는 명작" 이란 뜻 입니다가치평가가 다 그렇듯 명확한 기준이 있는 구분은 아니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학 비평과 단순한 감상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감상은 누구나 할 수있는 주관적인 것입니다.그냥 예쁘나, 재미없다 정도로만 느껴도 감상이죠여기에 객관적 근거(역사, 이론, 작가 등의 정보)를 더하여 나의 주관에 설득력을 더한 것이 비평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수능 샤프심은 어디서 어떻게 구하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수험생이 시험 당일 사용할 샤프(샤프심 포함)와 컴퓨터용 사인펜은 시험실에서 일괄 지급됩니다.샤프만 덜렁 준다면 사프심 깜빡한 사람은 시험 못칠 수도 있으니까요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